ADVERTISEMENT

국방부 도움 없이 ‘5·18 암매장’ 유해 발굴 나선 까닭

중앙일보

입력

6일 오후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담장 인근. 작업모를 쓴 작업자 4명이 호미로 조심스럽게 땅바닥의 흙을 걷어내고 있었다.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들이 암매장된 것으로 추정된 장소에 대한 발굴 현장이다. 김양래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5·18 당시 밟혀 죽은 시신 등 12구를 가마니에 싸 암매장했다는 계엄군 지휘관의 증언을 토대로 본격 발굴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5·18 암매장 발굴현장서 찾은 비닐포장재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7일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5·18 암매장 추정지에서 작업자들이 비닐포장재로 추정되는 물체를 출토해 확인하고 있다. 5·18기념재단은 계엄군 지휘관이 1995년 검찰 조사에서 남긴 진술과 약도 등을 토대로 해당 장소에 지난 3일 장비를 배치하는 등 닷새째 5·18 행불자 유해를 찾고 있다. 2017.11.7   h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5·18 암매장 발굴현장서 찾은 비닐포장재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7일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5·18 암매장 추정지에서 작업자들이 비닐포장재로 추정되는 물체를 출토해 확인하고 있다. 5·18기념재단은 계엄군 지휘관이 1995년 검찰 조사에서 남긴 진술과 약도 등을 토대로 해당 장소에 지난 3일 장비를 배치하는 등 닷새째 5·18 행불자 유해를 찾고 있다. 2017.11.7 h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옛 광주교도소는 80년 5월 당시 행불자들이 암매장된 장소로 지목돼왔다. 5·18 당시 보안대 자료에는 옛 교도소에서 억류당한 시민 28명이 숨졌는데 이중 시신 11구만 임시 매장된 형태로 발굴됐다.

발굴 장소는 옛 광주교도소 북측 담장 바깥쪽 길이 300m 중 길이 115m, 폭 3~5m 구간이다. 80년 5월 당시 공수부대의 순찰로 인근 부지로 재소자들이 일궜던 농장 인근 지점이다. 현재는 아스팔트 포장 시공과 주변에 주차장·테니스장 등이 조성돼 과거와 지형·지물이 달라졌다.

5·18기념재단과 5월 단체들은 이번 발굴에서 법무부가 제안한 국방부 유해발굴단의 지원을 받지 않기로 했다고 한겨레가 6일 보도했다.

박상기 법무부 장관도 지난 3일 옛 광주교도소 현장을 방문해 “국방부 유해발굴단의 도움을 안 받기로 하셨나요?”라고 궁금해했다. 이에 대해 김양래 상임이사는 “그동안 국방부가 5·18민주화운동 왜곡 등과 관련해 단 한 차례도 사과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김양래 상임이사는 매체를 통해 “국방부는 5·18 때 북한 특수군이 광주에 왔다는 황당한 주장이 나오는데도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고 5·18 왜곡을 방치했고 심지어 즐겼다는 느낌을 줬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2013년 5월 광주시가 5·18 당시 북한군 개입설에 관한 사실 여부 묻자, “5·18 당시 북한군 특수부대가 개입했다는 내용은 확인할 수 없었다”는 내용이 담긴 확인서를 광주시에 보냈을 뿐이다.

또 하나의 이유는 문화재 출토방식으로 발굴하는 것이 더욱더 정밀한 발굴이 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매체는 전했다. 만약 유해가 이곳에서 이미 계엄군들의 손에 의해 다른 곳으로 옮겨갔을 경우 ‘고고학적’ 발굴 방식은 유해 이장의 미세한 ‘단서’를 찾을 수 있다고 한다.

5·18 암매장지 발굴은 2002년부터 3차례에 걸쳐 발굴이 이뤄졌으나 현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5월 단체들과 광주광역시는 1997년부터 2009년까지 암매장 제보가 접수된 64건 중 중복된 12곳과 제보가 미흡한 46곳을 제외한 9곳에 대해 발굴 작업을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