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친구 배제' 일반화 지나쳐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555호 30면

독자 옴부즈맨 코너

중앙SUNDAY 10월 22일자에서는 1·4·5면의 특별기획 ‘한국학 120주년, 러시아 상트대학을 가다’가 눈에 띄었다. 189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에서 조선인 통역관 김병옥이 한국어 강의를 시작했다는 것부터 유럽 첫 춘향전 한국어 강의에 이르기까지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러시아에서의 한국학 연구에 대한 내용이 무척 신선했다. 더불어 상트대 총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과 러시아 간의 교류와 협력 과제도 잘 소개했다. 다만 한국학 교육 120주년 기념 ‘한국학 학술대회’에 대해 간단히 언급한 데다 참석한 주요 인사를 소개하는 데 그친 점이 아쉽다. 기념 학술대회에서 다루어진 주제나 구체적인 논의 내용을 소개했더라면 좀 더 현장감 있고 유익했을 것 같다.

3면의 ‘잇단 초·중생 대상 범죄에 대한 부모들 자구책’ 기사는 초등생 아들을 둔 엄마로서 특히나 관심 있게 읽었다. 최근 일련의 사건·사고 때문에 부모가 자녀의 교우관계를 간섭·통제함으로써 자녀의 사회화를 왜곡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잘 아는 친구들만 사귄다는 것은 결국 폐쇄적이고 사회성을 잃게 만들어 또 다른 사회문제를 야기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부모들의 태도가 당장의 문제만 회피하려는 태도는 아닌지 되돌아보게 된다. 그런데 이 기사에서 최근 범죄사고에 대한 자구책으로 부모가 ‘믿을 만한 집’의 아이들만 사귀게 한다거나 SNS 등을 통해 다른 아이나 그 가정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는 등의 사례를 들고 있는데 이는 현상을 지나치게 일반화한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어릴 때부터 친구들을 가려 만나게 하는 조기배제 메커니즘이 심화한 것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데 이에 대한 원인을 최근의 범죄 때문인 것처럼 제시한 사례는 적절치 못한 것 같다.

8면 ‘에너지 빅뱅 저자 이종헌 특파원 인터뷰’는 시의적절했다. 마침 탈원전 공론화위원회의 권고가 나온 뒤여서 이 문제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던 차였다. 4차 산업혁명에서 에너지의 패권을 가진 자가 승자가 될 것이라는 전망과 변화되는 사회에 적합하게 에너지를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이 흥미로웠다.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우리나라로서 에너지 문제해결도 국제정치학적 접근과 고민이 매우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한다.

26면 ‘공공미술의 명암’기사는 일상 속 시민과의 소통예술로서의 공공미술 작품에 대한 내용을 소개했다. 얼마 전 서울역 광장에 설치됐던 ‘슈즈트리’에 대한 작품성과 공공성 논란을 돌이켜보면서 국내외에서의 공공미술 사례들을 제시했다. 특히 예술가와 주민이 지역사회의 이슈를 공유하고 공공미술을 함께 만들어가는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에 공감한다. 이 기사를 통해 도시 설치미술과 관련한 국내외의 여러 사례와 장단점을 살펴보는 기회가 됐다. 또 대중과의 소통예술로서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홍승연
전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정보통신정책 부문 국제개발협력(ODA)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