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뒤 첫 만남 … 연대론 즉답 피한 안철수, “안보 이외 협력” 유승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원내 제3·4당인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의원들이 10일 국회에서 선거구제 개편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오른쪽)와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토론회에 참석해 이야기하고 있다. [조문규 기자]

원내 제3·4당인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의원들이 10일 국회에서 선거구제 개편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오른쪽)와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토론회에 참석해 이야기하고 있다. [조문규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10일 대선 후 처음 공개석상에서 만났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정책연구원과 양당의 의원 모임인 국민통합포럼이 공동으로 개최한 선거구제 개편을 위한 토론회 자리였다. 두 사람은 나란히 앉아 안 대표는 30분, 유 의원은 2시간 동안 자리를 지켰다.

국민의당·바른정당 선거구 토론회 #안 “광역단체장도 결선투표 검토를” #유 “한국당과 지금 통합할 수 없다”

자리를 떠나는 두 사람에게 양당 간의 연대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안 대표는 이날 바른정당과의 연대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즉답을 피했다. “선거제도에 대해서는 생각을 같이하는 많은 의원과 함께 논의를 진전시켜 나가고, 법안이 상정된다면 반드시 통과되도록 노력하겠다”고만 했다. 안 대표는 이날 토론회에서 “내년 지방선거 때부터 광역 단체장들도 결선투표제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의원은 토론회 인사말에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나라를 위해, 추구하는 원칙과 가치가 맞다면 협력할 준비가 언제든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자들을 만나선 “안보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뉘어 있기 때문에 안보 이외의 부분은 (국민의당과) 협력할 게 많다고 생각한다”며 “정치적 통합은 당 의원들이 개별 차원에서 생각하고 있고, 여러 의원이 국민의당 의원들과 접촉하고 (통합이나 연대)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만 듣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유 의원은 9일 주호영 권한대행, 김무성 의원, 정병국 의원 등을 만나 당의 진로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유 의원과 정 의원은 이른바 ‘자강파’, 김 의원과 주 권한대행은 자유한국당과의 ‘통합파’다. 네 사람은 2시간 반 동안의 회동에서 별다른 결론을 내지 못했다고 한다.

유 의원은 기자들에게 “정 의원하고 저는 한국당이 변화한 게 없기 때문에 지금 통합할 수는 없다는 의견이었다”며 “김 의원은 한국당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출당이 이뤄지면 통합의 명분이 상당히 있다고 보는 것 같았다”고 전했다.

한국당과의 통합에 대한 당내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바른정당은 11월 13일 전당대회에서 새 대표를 뽑는다.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한 유 의원, 박인숙 의원, 하태경 의원 등은 모두 자강론자다. 한국당 관계자는 “전당대회 이후 새 지도부가 선 후에는 통합 논의가 더 지지부진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국당 이철우 의원과 바른정당 김영우 의원 등 양당의 통합파 의원들은 11일 회동을 갖고 ‘보수우파통합추진위원회(통추위)’ 출범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한국당과의 ‘통합론’을 놓고 당내 여론이 양분된 상황에서 자강파들이 국민의당과의 ‘연대론’을 열어놓기 시작한 양상이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