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정권 때 서울 3분의1 면적 아르헨 땅 구입했다 무상양도”

중앙일보

입력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아르헨티나에 서울시 면적 3분의1에 해당하는 9만평 짜리 농지를 구입했지만 39년간 방치되다 일부가 현지 농민에게 무상 양도되는 등 사실상 개발 사업 자체가 무산됐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질의하는 김경협 의원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의원이 2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2017.8.21   superdoo8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질의하는 김경협 의원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의원이 2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2017.8.21 superdoo8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의원은 9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1978년 박 전 대통령 시절 여의도의 79배, 서울시 면적의 3분의 1정도 되는 땅을 아르헨티나에 구입했다”며 “농업이민을 추진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환경이 열악해 계속 관리비만 지출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해당 농지에 대해 노무현 정부가 활용방안을 추진했으나,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자마자 제동을 건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 때 아르헨티나 순방을 하며 농장 활용방안을 지시했고, 농어촌공사에서 이것을 개발하기로 결정을 해 놨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이 계획 자체를 완전히 다시 뒤집어엎었다”면서 ‘노무현 흔적 지우기’ 목적으로 사업이 방치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2013년 박근혜 정부 들어 재외공관 국정감사 당시 왜 이것을 계속 방치하느냐는 지적이 있어서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다시 활용방안을 가지고 나서기 시작했다”라며 “그런데 막상 활용하려 보니 아르헨티나 사람들이 들어와 농사를 짓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불법점유하는 땅을 떼서 현지인에게 무상으로 양도를 하는 계약을 체결했다”며 “해외국유재산법에 따라 매각이나 양도를 할 때는 코이카 이사회 의결을 거쳐 외교부 장관의 승인을 받게 돼 있는데 이런 절차가 모두 생략된 채 무상양도 계약을 체결해 버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코이카가 이 방안을 농어촌공사와 상의를 했는데 당시 공사 사장이 박근혜 대통령 후보 시절 농정공약을 총괄하던 ‘행복한 농어촌 추진단장’”이라며 “이 양반이 농업의 해외 시장 정책에 열정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무상양도 계약에 개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