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난 23일 북 핵실험장 근처 두 차례 지진 발생…북핵 실험 여파로 동북아 연쇄 환경 재앙 일어날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j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jr

지난 23일 북한 핵실험장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이 지난 3일 북한의 6차 핵실험의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앞서 기상청은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에서 지난 23일 오후 1시 43분쯤과 오후 5시 29분쯤 규모 3.2의 지진이 연달아 일어났다고 24일 발표했다. 북한은 길주군 풍계리의 만탑산 지하에 갱도를 판 뒤 6차례 핵실험을 했다. 지진이 일어난 곳은 핵실험장에서 5~6㎞ 떨어졌다.

유엔 산하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의 라시나 제르보 사무총장은 이날 트위터에서 “(6차 핵실험 당일인) 지난 3일 둘째 지진과 지난 23일 두 차례 지진은 지난 3일 인공 폭발(man-made blast)에 기인한 지질학적 압력과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지난 3일 인공 폭발은 북한의 6차 핵실험을 뜻한다. 그는 또  “(6차 핵실험이) 아직도 영향을 미치고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풍계리 일대는 과거에 자연 지진이 발생했던 곳은 아니다”며 “6차 핵실험 때문에 일어난 ▶대규모 산사태 ▶핵실험 갱도 붕괴 ▶지구조 응력 배출(지층의 힘이 공간 쪽으로 쏠리면서 일시에 풀리는 현상) 등 셋 중 하나가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CTBTO의 라시나 제르보 사무총장이 분석한 23일 지진파. 왼쪽부터 지난 3일 2차 지진, 23일 1차 지진, 2차 지진. [트위터 캡처]

CTBTO의 라시나 제르보 사무총장이 분석한 23일 지진파. 왼쪽부터 지난 3일 2차 지진, 23일 1차 지진, 2차 지진. [트위터 캡처]

지구조 응력 배출과 핵실험 갱도 붕괴가 자칫하면 추가 지진 등 동북아시아 연쇄적 '재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우려다.

홍태경 교수는 “6차 핵실험 후 지구조 응력이 백두산 하부 마그마방에 영향을 미치면 화산 분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2월 북한이 대규모 핵실험을 하면 백두산이 폭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백두산은 지난 946년 화산폭발했다는 기록이 있다. 백두산이 분화할 경우 대량의 화산재 때문에 동북아 항공 대란이 일어나고, 폭발 후 지진으로 한국의 10층 이상 건물 유리창과 외벽에 큰 피해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학과 교수 연구).

핵실험 갱도 붕괴로 갱도 안에 쌓인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나올 수도 있다. 유출한 방사성 물질은 공기나 물을 오염할 수 있다.

카자흐스탄의 경우 구 소련 시절 500여회 지상ㆍ지하 핵실험이 일어난 세미팔라틴스크 지역에 대해 영구 출입금지 조치를 내렸다. 서균렬 서울대 핵원자력공학과 교수는 “미국도 냉전 때 핵실험의 영향으로 150만명이 사망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미국과 옛 소련보다 좁은 한반도에서 북한이 핵실험을 했는데 그 영향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신원식 전 합참 차장은 “지금까지 북한 핵을 군사적으로만 바라봤지 환경 문제로 살피진 못했다”면서 “지금이라도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주변국인 중국·러시아·일본과 협력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