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가로등 지역마다 달리 켜진다…36년 만에 체계 변경

중앙일보

입력

다음 달부터 서울 시내 가로등이 어두운 지역부터 먼저 불을 밝히게 된다. [중앙포토]

다음 달부터 서울 시내 가로등이 어두운 지역부터 먼저 불을 밝히게 된다. [중앙포토]

다음달부터 서울 시내 가로등이 ‘일몰 후 15분’에 일괄적으로 켜지는 방식에서 벗어나 어두운 지역부터 먼저 불을 밝히게 된다.

‘일몰 후 15분’→30룩스 이하 기준 지역별로 #10월부터 25개 자치구 약 27만여 개 가로등 일제 변경

서울시는 1981년 이래 36년간 이어 온 가로등 점등 시스템을 지역별 조도(밝기) 기준으로 변경해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서울 시내 가로등 27만여 개는 ‘일몰 후 15분 점등, 일출 전 15분 소등’이라는 규칙에 따라 천편일률적으로 켜지고 꺼졌다.

하지만 같은 서울 시내라도 지역에 따라 국지성 호우ㆍ안개ㆍ황사가 종종 나타나 지역마다 다른 날씨 변화로 인해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야를 밝혀주는 데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시는 25개 자치구별로 밝기를 재는 ‘조도측정시스템’을 갖춰 다음달부터는 30룩스(Lux) 이하 지역부터 가로등을 점등하기로 했다.

가로등은 남산에 위치한 가로등 관제센터에서 점ㆍ소등 신호를 송출하면 관악산, 북악산 등 시내 요소에 설치된 6개 중계소를 거쳐, 약 7200여 개소 가로등 분점함에 신호가 전송되고 이 신호에 따라 꺼지고 켜지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시는 “조도측정시스템은 남산 가로등 관제센터에서 통합 관리한다”며 “기상여건에 따라 자치구별로 탄력적으로 가로등을 운영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