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협회 "살충제 계란 안심 상황 아냐…식약처 발표 성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살충제 검출 계란 유통량 추적조사 및 인체 위해평가 결과 발표가 21일 오후 충북 청주시 오송읍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과 최성락 식약처 차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김성태 기자.

살충제 검출 계란 유통량 추적조사 및 인체 위해평가 결과 발표가 21일 오후 충북 청주시 오송읍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과 최성락 식약처 차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김성태 기자.

의료계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살충제 계란' 위해성 평가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했다. 22일 대한의사협회는 전날 식약처가 "피프로닐에 오염된 계란을 1~2살 영유아가 하루 24개, 성인은 126개까지 먹어도 위험하지 않다"고 발표한 내용에 대해 섣부르다는 의견을 연합뉴스에 밝혔다.

장기적으로 섭취한 사례에 대한 연구논문 또는 인체 사례 보고가 아직 확인되지 않은 시점에서 이같은 단정은 섣부른 대응이라는 것. 의협은 "식약처 발표대로 살충제 계란이 인체에 심각한 유해를 가할 정도로 독성을 가진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안심하고 섭취해도 될 상황은 아니다"고 공식입장을 밝혔다.

조경환 의협 홍보이사는 "살충제가 몸에 해롭다는 점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인데 정부가 왜 저렇게까지 수치화한 내용을 발표했는지 의문"이라며 "문제가 된 살충제 성분이 시간이 지나면 몸 밖으로 배출되는 것은 맞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살충제 계란을 섭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만큼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이사는 또 "식약처가 국민의 건강을 생각한다면 이런 식으로 발표하기보다는 조금 더 정확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피프로닐을 과다 섭취하면 어지럼증·구토·복통·두통·현기증 등 독성물질오염 증상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 신장 등 인체 내부 장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급성 독성은 기존 연구를 참고했을 때 크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지만, 만성 독성은 아직 동물실험 외 공신력 있는 연구결과가 없는 만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홍윤철 서울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는 "동물실험에서 나온 결과는 참고사항으로만 간주해야 지, 인간에게 바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며 "장기 추적 연구결과가 없는 상황에서 적정 계란 섭취량을 설정하는 것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