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주 장관이 ‘근로자’ 대신 ‘노동자’라는 말을 택한 이유

중앙일보

입력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취임식장에 들어서는 모습 [연합뉴스]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취임식장에 들어서는 모습 [연합뉴스]

김영주 신임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취임사에서 ‘근로자’라는 말 대신 ‘노동자’라는 표현을 썼다. 김 장관 취임사에서 노동자라는 말은 14번 나온다.

김 장관은 이날 취임사를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전국의 노동자와 경영자, 구직자 여러분! 이 순간에도 노동 현장에서 치열하게 살아가고 계시는 여러분께 존경의 말씀을 드립니다”는 말로 시작했다. 공식 법률 용어인 근로자라는 말을 모두 노동자로 대체한 것이다.

김 장관은 취임식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앞으로 노동자라는 표현을 계속 쓰겠다”고 말했다. “직원들도 노동자라는 말을 쓰게 할 것이냐”는 질문엔 “(지시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지 않겠느냐”고 답했다.

김 장관은 또 “‘근로’는 괜찮고 ‘노동’은 안 되는 그런 것이 아니라,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이 노동자니까 노동자라고 부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취임사에서 기업이라는 말 대신 ‘사용자’라는 말도 썼다. 그는 “노동현장에서 산재사고ㆍ임금체불ㆍ부당노동행위ㆍ장시간근로 같은 부끄러운 일들이 없어져야 한다”며 “산재, 임금체불, 불안한 노사관계가 해소되면 사용자의 비용부담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취임식 전 문재인 대통령은 김 장관에게 임명장을 주며 “고용노동부는 경제부처이기는 하되 노동의 관점에서 노동자들의 이익과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대변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선욱 기자 isotop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