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영 본부장 임명 철회 요구에 대한 청와대 반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박기영 과학기술혁신본부장)차관급). [사진 청와대]

박기영 과학기술혁신본부장)차관급). [사진 청와대]

‘황우석 사태’에 연루된 박기영 전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이 과학기술혁신본부장(차관급)에 임명된 이후 임명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는 “관련 내용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입장을 8일 밝혔다.

靑 “관련 내용을 인지하고 있었다… #과거 과학기술보좌관 경험 중시해 박 본부장 임명한 것”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R&D(연구개발) 컨트롤 타워라 경험이 굉장히 중요한 인선 항목”이라며 “과거 청와대에서 과학기술보좌관으로 일해본 경험을 중시해 박 본부장을 임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박 본부장의 이력을 알고 임명한 것인가’라는 물음에 “박 본부장에 관해 이야기하는 부분은 인지하고 있었다”며 “다만, 그에 대한 다른 말씀은 드릴 수 없다”고 답했다.

박 본부장은 노무현정부 청와대에서 정보과학기술보좌관으로 일하던 2006년 황우석 교수팀의 줄기세포 조작 파문과 관련해 공직을 떠났다가 11년 만에 복귀했다.

지난 2005년 5월 25일 박기영 과학기술혁신본부장(당시 청와대 정보과학기술 보자관ㆍ왼쪽)과 황우석 전 대학교수. [연합뉴스]

지난 2005년 5월 25일 박기영 과학기술혁신본부장(당시 청와대 정보과학기술 보자관ㆍ왼쪽)과 황우석 전 대학교수. [연합뉴스]

황 교수팀의 2004년 사이언스 논문 공동저자이기도 했던 박 본부장은 당시 황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후원했었다.

박 본부장이 신임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 임명되자 과학기술인이 중심이 된 전국공공연구노조와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박 본부장의 임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또 국민의당과 정의당 등 야당도 비판 논평을 내고 박 본부장의 임명 철회 또는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이날 보건의료단체연합, 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공동성명을 내고 “박 전 보좌관은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의 신뢰를 훼손할 인물이며, 적폐 청산이라는 문재인 정부의 기조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인사”라고 비판했다.

이들 단체는 “연구부정행위를 저지르고, 특정 과학자를 비호하기 위해 거짓을 일삼고 반성도 하지 않은 인물이 세금으로 조성된 연구 개발 예산을 다루는 문재인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의 담당자가 된다면 과학계는 물론이고, 문재인 정부를 이뤄 낸 촛불 시민의 신뢰까지 잃어버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