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다음주 ‘인사추천위’ 본격 가동...정밀 검증대상 3배수로 늘려

중앙일보

입력

안경환 법무부장관 후보자 낙마로 첫 인사 사고를 겪은 청와대가 다음주부터 인사추천위원회를 가동하는 등 인사 체계 정비에 나선다. 청와대 관계자는 18일 “인수위 없이 정부가 출범한 데다 인사추천위를 구성해야 할 청와대 수석 상당수가 공석이었다”며 “이제 안정이 됐으니 인사를 체계적으로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5일 자진 사퇴한 안경환 법무부 장관 후보자. [중앙포토]

지난 15일 자진 사퇴한 안경환 법무부 장관 후보자. [중앙포토]

청와대에 따르면 인사추천위는 대통령 비서실장을 위원장으로 인사수석이 간사를 맡고 정책·안보실장, 정무·민정·국민소통 수석, 국정상황실장 등이 참여한다. 노무현 정부때도 인사추천위가 상시 가동됐다. 당시 인사수석실의 ‘추천안’과 민정수석실의 ‘검증안’을 놓고 격론을 벌여 누가 가장 적합한 인사인지 가려내는 구조였다. 추천과 검증을 분리하고 민정수석실의 검증안을 재검증하는게 핵심이다.

비서실장이 위원장, 인사수석이 간사 #노무현 정부때도 인사 추천ㆍ검증 분리가 핵심

문재인 정부는 그동안 인사추천위 없이 인사·민정수석실 주도로 인사 추천을 받고 검증을 해왔다.
여러 경로에서 접수된 추천안을 바탕으로 인사·민정수석실이 2~3배수의 약식 검증 대상자를 추려낸다. 이후 대통령 보고를 거쳐 압축된 1~2배수를 대상으로 정밀 검증을 실시한 뒤 최종 인사 발표를 하는 식이다.

  앞으로 인사추천위원회가 가동되면 무엇보다 검증 대상이 폭이 넓어질 전망이다. 인사·민정수석실이 약식 검증 대상자 폭을 5~6배수로 늘려 인사추천위원회에 먼저 보고하게 된다. 인사추천위원회는 심사를 통해 3배수의 정밀검증 대상자를 가려낸다. “인사·민정 수석 뿐만 아니라 다른 수석들도 검증 대상자의 자질과 도덕성을 한 번 더 들여다볼수 있게 돼 검증도 자연스레 강화된다”는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다만 공석인 법무부·산업통상자원부·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기존 검증 자료를 바탕으로 이르면 다음주 초 발표할 계획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인사추천위와 공석인 장관 발표는 상관 없다”며 “검증이 끝나는 대로 후보자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심을 받는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선과 관련해 이 관계자는 “다시 추천을 받을 수도 있고 복수로 검토를 해 왔던 인사 중에서 찾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