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북 민간단체 북한 주민접촉 신청 대거 승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통일부는 2일 대북 인도지원과 남북 종교교류를 위해 민간단체가 신청한 대북접촉 신청을 대거 승인했다. 북한주민 접촉 신청의 경우, 정부가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신청서를 접수하면 승인으로 간주하지만 그동안은 접수 유예 형식으로 접촉을 불허해 왔다.

오늘중 어린이 어깨동무 등 8곳 추가 승인 예정 #지난달 2곳 이어 모두 10곳으로 늘어 #남북 민간교류 확대, 남북관계 정상화로 이어질 지 주목 #6.15남북공동행사 9년만에 개최 추진중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최근 북한주민과의 접촉을 신청한 곳 중 인도지원 단체 2곳과 종교단체 6곳 등 8곳의 접촉 신청을 승인(접수)했다”이라며 “이번에 접촉을 승인한 단체들의 접촉 목적은 순수한 인도지원과 종교교류”라고 말했다.

이 부대변인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의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민간 교류에 대해선 유연하게 검토해 나간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라며 “이번 역시 이 같은 원칙을 적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가 이날 승인한 단체는 어린이 의약품 지원본부, 어린이 어깨동무 등 인도지원단체 2곳과 한국종교인평화회의, 한국기독교연합사업유지재단, 평화 3000, 단국민족평화통일협의회,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 추진본부, 천태종나누며 하나되기 등 사회문화단체 6곳이다.

이들 단체는 향후 팩스 또는 이메일 등으로 북측 민족화해협의회 등과 접촉을 할 계획이다. 일부 단체는 중국 등 제3국에서 대면접촉도 예정하고 있다.

정부는 앞서 지난달 26일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인도적 지원을 위한 대북접촉을 승인했고, 31일에는 6ㆍ15공동선언 남측위원회(남측위)의 접촉 신청을 승인했다. 통일부가 추가로 8곳의 접촉을 승인하면 북한 주민을 접촉할 수 있는 단체는 10곳으로 늘어난다.

익명을 원한 민간단체 관계자는 “지난해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이후 사실상 민간단체의 남북교류가 중단됐다”며 “북한의 핵과 미사일 문제로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상황에서 민간단체가 대북접촉에 나서면 대북 인도적 지원뿐만 아니라 남북관계 정상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6.15 공동선언 남측위 서울지역본부는 이날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남북관계 개선과 남북 민간교류 재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남측위는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접촉 승인을 환영한다”며 “올해에는 반드시 6ㆍ15선언 기념대회를 시민들과 함께 성대히 진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정부가 이처럼 민간단체들의 접촉 승인폭을 확대하면서 남측 관계자들의 방북으로 이어질 지도 주목된다. 정부 당국자는 “아직까지 방북승인을 한 곳은 없다”고 말했다.

남측위는 오는 15일을 전후해 개성 등지에서 북측과 공동으로 6ㆍ15행사를 열 계획이다. 6ㆍ15 행사가 남북 공동으로 열릴 경우 이명박 정부 첫해인 2008년 이후 9년 만이다. 안지중 남측위 공동집행위원장은 “북측은 평양에서 (6ㆍ15)공동행사를 열기를 원한다”며 “하지만 우리 측은 개성에서 행사를 진행하자고 북측에 팩스로 요청했다”고 말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