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공개 사과…9년 전 숨진 병사 ‘월급 33만원 반환’ 소송도 취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방부가 9년 전 숨진 병사의 부모를 상대로 초과 지급된 월급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가 취하하고, 유가족들에게 공개 사과했다.

1일 국방부는 해명자료를 내 “오늘 관련 소송을 취하하고 급여를 회수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향후 관련 법규를 현실화해 개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방부는 군 복무 중 순직한 최모일병의 명복을 빌며, 이번 일로 마음의 상처를 받으신 부모님과 유가족께 위로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날 정의당 김종대 의원에 따르면 국방부는 지난 4월 3일 고(故) 최모(사망 당시 일병)씨의 유가족에게 초과지급된 월급 33만5000원과 독촉절차 비용 6만6000원 등 총 40만1000원에 대한 지급명령 소송을 제기했다.

최씨는 2008년 6월 선임병들의 구타와 괴롭힘을 견디다 못해 부대 내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국방부는 두 달이 지나서야 최씨의 사망을 군의 책임이 없는 ‘일반사망’으로 분류했고, 이후 제적 처리도 두 달이 지난 10월에야 마무리했다.

이렇게 절차가 늦어지는 동안 군은 최씨의 급여 통장으로 4개월치 월급 33만5000원을 지급했고, 유가족들은 이를 인지하지 못했다.

국방부는 이로부터 4년이 지나 유가족들을 대상으로 초과 지급된 월급을 돌려달라고 요청했지만, 유가족 측은 “자식을 잃은 것도 억울한데 이젠 유가족을 우롱하느냐”며 반환을 거부했다.

이어 유가족들은 재심 청구 끝에 지난해 최씨의 사망을 일반사망이 아닌 순직으로 인정받았다.

군은 부대 내 폭언, 구타, 가혹 행위, 업무 과중 등이 사망의 주된 원인으로 밝혀질 경우 공무와의 인과관계를 고려해 순직으로 인정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