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동해안 주민 60년 숙원 해안가 군 철책 제거…해수욕장 개장 전 철거 못하나

중앙일보

입력

강릉의 한 해변에 설치된 해안 철책. [중앙일보DB]

강릉의 한 해변에 설치된 해안 철책. [중앙일보DB]

강원 동해안 군 경계철책이 올해도 해수욕장 개장 전 철거가 어려울 전망이다. 동해안 군 경계 철책 제거 사업은 강원도민의 ‘60년 숙원’이자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하다.

열영상장비 수입, 납품하는 업체 자금 문제로 사업 포기 #감시카메라 필요한 12곳, 12.1㎞ 철책 제거 사업 중단

동해안 6개 시·군은 지난해까지 25곳 15.3㎞의 군 경계 철책을 철거를 추진했다. 하지만 대체 감시시설을 납품하는 업체가 제품의 시험성적서를 위조한 혐의 등으로 검찰 수사를 받으면서 철책 제거 사업이 중단됐다. 경계 철책이 제거되는 곳에는 복합감시카메라와 경계초소, 경계등 등 대체 감시 장비가 설치돼야 한다. 현재 각 시·군은 감시카메라 설치가 필요 없는 13곳, 4.2㎞ 구간의 철책만 철거했다.

강릉시는 송정과 연곡, 옥계 해변 등 3곳 해변 5.2㎞ 구간의 철책을 철거하지 못하는 등 감시카메라가 필요한 동해안 12곳, 12.1㎞의 철책 제거 사업은 중단된 상태다.

강릉의 한 해변에 설치된 해안 철책. [중앙일보DB]

강릉의 한 해변에 설치된 해안 철책. [중앙일보DB]

더 큰 문제는 열영상장비를 수입해 납품하기로 한 업체가 자금 문제로 지난달 사업을 포기하면서 사실상 해수욕장 개장 전 철책 철거 완료는 어려울 전망이다. 강릉·동해·속초·양양 지역 해수욕장은 7월 7일, 삼척·고성 지역 해수욕장은 7월 14일에 개장한다.

강원도 환동해본부 관계자는 “업체가 사업을 포기하는 바람에 다른 업체를 찾고 있다”면서 “해수욕장 개장 전에 철거를 완료할 계획이지만 대체 장비로 감시카메라가 꼭 설치돼야 철거를 시작할 수 있어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강릉=박진호 기자 park.ji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