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로전으로 번진 씨티은행 노사갈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지점 통·폐합을 둘러싼 한국씨티은행의 노사 갈등이 커지고 있다. 씨티은행 노조는 16일부터 정시 출·퇴근 등 쟁의 행위에 들어갔다. 경영진이 추진하는 지점 통폐합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난 3월 씨티은행은 기존 126개 소비자금융 영업점을 25개로 축소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노조는 “대규모 점포 폐쇄는 은행의 존립을 좌우하는 결정이기 때문에 노조와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은행 측은 “점포 폐쇄는 경영권이기 때문에 노조와 논의할 대상도 아니다”고 맞서고 있다.

영업점 통·폐합 놓고 이견 심화 #노조 “카드 해킹사고 대책 없어” #사측 “고객에 알리고 거래 막아”

양측의 대립은 체크카드 해외 부정 사용과 관련한 대응 문제로 비화됐다. 이날 씨티은행 노조는 “체크카드 정보가 유출돼 해외에서 부정 사용됐는데도 은행 측이 미온적으로 대처하고 있다”고 폭로를 했다. 나아가 금융감독원에 이를 조사해달라고 요청했다.

김재호 씨티은행 노조 홍보부위원장은 “씨티은행의 ‘A플러스 체크카드’가 해외에서 계속 부정 사용되는데도 은행은 근본 대책을 세우지 않고 사고가 나면 보상해 주면 그만이라는 식으로 대응한다”며 “1만5000여명의 카드 보유자가 언제든 피해자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A플러스 체크카드의 부당사용 건수는 1만3000건에 달한다. 해커들이 한 번에 10~20달러씩 돈을 빼 나가는 방식이라 피해 사실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그러나 은행 측 설명은 다르다. 씨티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6월 페이팔 등 온라인 가맹점에서 집중적으로 부정 사용이 발생해 즉시 피해 고객에게 연락을 취하고 해당 카드를 거래 정지시켰다”며 “지금도 일부 신규 가맹점에서 가끔 사고가 발생하기는 하지만 고객 불편을 우려해 해외 인터넷 거래를 전면 금지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18일 씨티은행을 방문해 사실 관계를 파악하기로 했다.

고란 기자 ne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