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전병헌 신임 정무수석에 거는 기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박근혜 정부가 몰락한 핵심 원인의 하나는 엉망인 당정 관계였다. 의원들이 뽑은 집권당 원내대표가 대통령 한마디에 쫓겨나고, 친박 실세 몇몇이 당 공천을 좌지우지하는 어처구니없는 사태가 임기 내내 이어졌다. 그러나 청와대와 당 사이에서 갈등을 풀어줘야 할 정무수석은 재량권이 없어 대통령 눈치 보기에만 급급했다. 정권의 머리와 몸통이 원수처럼 싸우며 따로 놀았으니 총선·대선에서 연패하고 무너진 건 어쩌면 당연하다.

그런 점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정무수석에 전병헌 전 의원을 임명한 것을 주목한다. 전 신임 수석은 비문(동교동계) 3선 의원 출신으로 민주당 원내대표 시절 유연한 협상력을 선보였고, 대인관계도 원만해 야권에도 가까운 의원이 많다. 당정 관계를 수평적으로 운영하고, 야권과의 대화도 활성화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엿보이는 인사란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문재인 정부에서 집권당 의석은 120석에 불과하다.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정의당과 연대하지 않으면 국정을 제대로 이끌 수 없다. 또 당내에도 비문세력이 만만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언제든 자중지란이 일어날 수 있는 구조다.

전 정무수석의 어깨가 그래서 무겁다. 이념과 지지기반, 노선이 제각기 다른 5당과 청와대 사이를 조율해 결과물을 만들어내야 할 힘든 과제가 주어졌기 때문이다. 전 수석은 무엇보다 여야를 가리지 말고 의원들과 수시로 소통하면서 그들의 쓴소리를 대통령에게 가감 없이 전달해야 한다. 집권당의 위세를 앞세워 군소야당을 흡수해 온 구시대적 정계개편 시나리오를 버리고,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하고 공통분모를 찾는 협치의 정신을 행동으로 보여야 할 것이다.

문 대통령은 취임 첫날 야당 지도부를 찾아 "최대한 자주 대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그 말이 빈말이 되지 않게 하려면 전 정무수석에게 확실한 권한을 주고, 그가 전하는 비주류와 야당의 목소리를 경청해야 한다. 박 전 대통령의 비극은 수석들이 몇 달이 되도록 대통령 얼굴 한 번 보기 어려웠던 폐쇄적 시스템에서 비롯됐음을 명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