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대선 보는 외신들 '北 문제가 여론 주도'·'北 문제가 전부는 아냐'

중앙일보

입력

서울 마포구 직원들이 8일 마포창업복지관에서 상암동 제3투표소를 설치하고 있다. 사진 최정동 기자

서울 마포구 직원들이 8일 마포창업복지관에서 상암동 제3투표소를 설치하고 있다. 사진 최정동 기자

AP통신, 파이낸셜타임스 등 주요 외신들이 한국의 대선과 관련해 북한 문제가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AP는 7일(현지시각) 이번 한국 대선과 관련해 "외교·안보 이슈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번 대선에서 일자리 창출, 부패 척결, 저출산 해결 등이 차기 정권의 우선순위 과제가 돼야 한다"라며 "북한 문제에 밀려 경제가 뒷전으로 밀릴 수도 있다"라고 전했다.

주요 후보들의 청년실업, 경제 정의, 정규직 및 비정규직 문제 등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는 후보들의 정책과 관련해서도 AP는 구체적인 어젠다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도 지난 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드 비용 관련 발언이 한국 대선에 영향을 끼쳤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사드 비용 관련 발언이 대선이 한창인 한국에서 안보 이슈로 부상했다는 평가다.

폭스뉴스는 지난 4일 "북한이 또다시 한국 대선을 지배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 같은 문제를 정면으로 지적하기도 했다.

폭스 뉴스는 "한국 국민의 화요일 대선은 한반도 비핵화를 위협하는 적대적인 핵보유국에 대한 후보들의 정책에 일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반대로 CNN은 한국의 대선이 북한 이슈에 매몰될 것이라는 기존의 분석을 뒤집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기사를 7일 발행했다.

CNN은 "북한의 무력 과시가 워싱턴과 평양 사이의 긴장감을 높인 가운데, 한국인들은 화요일 투표장으로 이동하게 된다"라면서도 "하지만 많은 유권자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후임을 선출하는 데 북한은 주요 쟁점이 아니다. 박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정치적 투명성과 부패 척결을 요구하는 이들이 많다"라고 보도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