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중국 이어 유엔 안보리까지 '북한 압박 전선' 가세 나서

중앙일보

입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 북한 포위망을 넓히기 시작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을 '북한 압박' 전선에 끌어들인 데 이어 이번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대상으로 북한 옥죄기를 촉구하고 나섰다. 중국과 유엔 안보리를 양 날개 삼아 북한에 전방위 압력을 가하는 모양새다.

이례적으로 유엔 안보리 이사국 대사 전원 백악관 초청 #"기존 제재 수준으로는 안 된다" 촉구 및 대북 경고 메시지

트럼프는 24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 15개 이사국 대사들을 백악관으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 하며 "북한에 대한 현상유지는 용납할 수 없다(unacceptable)"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말하기를 원하건 원치 않건 북한은 전세계에 실질적 위협이며 최대의 문제"라며 "우리가 결국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또 "사람들이 지난 수십 년간 (북한 문제에) 눈감아 왔지만 이제는 해결할 때가 됐다"며 "유엔 안보리는 북한의 핵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해 추가적이고 더욱 강력한 제재를 가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금까지 북한의 핵실험이나 미사일 도발에 대해 유엔이 가한 제재의 틀을 훨씬 벗어나는 획기적 제재를 촉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하거나 미사일 도발에 나설 경우 국제사회가 똘똘 뭉쳐 강력한 응징을 가할 것이란 경고 메시지의 의미도 내포돼 있다.

미국 대통령이 유엔 안보리 이사국 대사들을 전원 백악관으로 불러 북한 문제를 언급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이날 오찬에 동석한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대응)계획이 뭔지, 어떤 것을 지속하지 않을 것인지 등을 궁금해하는 대사들과 트럼프 간에 허심탄회한 대화가 있었다"며 "북한과 시리아 문제가 중점 논의됐다"고 전했다.

이날 안보리 회원국 대사들은 오찬 후 허버트 맥마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마련한 북한·이슬람국가(IS) 문제 브리핑에도 참석했다.
이와 관련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이 핵실험 내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실험에 나설 경우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북한 고려항공 취항 거부 ^공해상에서 북한 선박 상시 검색 ^석탄 등 일체의 물자 제공 금지 등의 강경 조치를 촉구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또한 중국을 겨냥한 ^북한 근로자 고용 전면 금지 ^원유 공급 금지 혹은 축소 등도 추가적인 유엔 안보리 제재 조치로 거론된다.
헤일리 대사는 또 이날 NBC, CBS 등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도발이 있을 경우 군사적 타격도 배제하지 않을 뜻을 시사했다.

그는 "(북한이) 미군 군사기지를 공격하거나 우리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보게 된다면 그때는 명확하게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헤일리 대사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는 질문엔 "(트럼프) 대통령이 개입해 어떻게 할 지 결정을 내릴 것"이라며 "북한에 이야기하는 건 '우리는 전쟁을 원하지 않으니 (북한이) 먼저 시작하지 말라'는 것"이라고도 했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