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소외감이 5070세대 태극기 집회로 이끌어"

중앙일보

입력

박근혜 전 대통령 지지자가 서울지법 근처 인도를 태극기를 들고 걸어가고 있다. 등에 두른 태극기에 '촛불은 인민, 태극기는 국민'이란 글이 보인다. 신인섭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 지지자가 서울지법 근처 인도를 태극기를 들고 걸어가고 있다. 등에 두른 태극기에 '촛불은 인민, 태극기는 국민'이란 글이 보인다. 신인섭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던 이른바 친박집회에 참여하는 5070세대들이 '현실에서 느낀 소외감'으로 인해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거리로 나선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소속 한국 민주주의연구소 최종숙 연구원은 '촛불, 태극기, 그리고 5070세대 공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 연구원은 친박집회의 주된 동력이 전통적인 안보 쟁점과 산업화 시대의 향수라며 "박정희 시대 때 이른바 산업역군으로 조국 근대화를 함께 했다는 경험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자신들을 향한 것으로 받아들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장·노년층이 현재 겪고 있는 소외감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이들은 계속해서 과거의 향수 속으로 도피할 것이며 비상식의 동원에도 쉽사리 응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촛불집회 의제들은 한국사회의 정치적 상식 회복, 최소한의 절차적 민주주의·법치 회복 등이라면 친박집회는 '종북·빨갱이' 등 색깔론이 지배적인 의제라고 봤다.

최 연구원은 5070세대가 박 전 대통령 탄핵 후에도 지속해서 친박집회에 참여하는 이유로 "현재가 너무 비참하기 때문은 아닌가"라는 의문을 던졌다.

그는 기존 논문들을 인용해 "장·노년층들은 사회적으로는 이미 퇴물 취급을 받고 있는데 수명 연장으로 살아야 할 시간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면서 "그렇다고 사회적으로 노인복지나 노후대책, 노인을 위한 문화프로그램이 잘 마련돼 있는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장·노년층의 물질적, 정신적 소외감은 모든 5070세대가 공유하는 문제"라며 "상식적으로 생각하라는 설득도 필요하겠지만, 현재 이들 세대가 처한 비상식적 상황에 대한 깊은 공감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들에 대한 공감은 정책으로 이어질 때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한국의 5070세대가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더 좋은 대안을 마련해야 '태극기 시민'의 마음도 아우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