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학생 정착 초기 스마트폰 사용법부터 가르친다

중앙일보

입력

점차 늘어나고 있는 탈북 학생들의 정착 초기부터 스마트폰 사용법 등 일상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을 실시한다. 탈북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직업교육도 이전보다 강화된다.

교육부는 23일 2017년 탈북학생 교육지원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탈북 학생은 지난해 4월 기준 2517명으로 2010년(1417명)에 비해 1000명 이상 늘었다.

특히 북한에서 태어난 학생보다 중국이나 제3국에서 태어난 학생의 비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다. 중국 등 제3국 출신 비율은 2011년 36.2%에서 지난해 52.3%로 늘었다. 유정기 교육부 학생복지정책과장은 “제3국 출생 학생은 한국어 구사 능력이 낮기때문에 한국어 교육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입국 초기 교육기관에 중국어가 가능한 이중언어 강사를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또 하나원 내 탈북 중고교생 교육시설인 하나둘학교에도 중국어 교사를 파견하기로 했다.


탈북 학생을 위한 직업 교육과 맞춤형 교육도 강화한다. 지금까지는 바리스타ㆍ중장비ㆍ조리실습ㆍ네일아트ㆍ피부미용ㆍ제과제빵 등 6개 분야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지만 3D프린터ㆍ용접ㆍ자동차정비 등을 추가할 예정이다. 또 학습지도ㆍ문화체험 등 탈북학생 개인의 교육적 수요를 반영해 2천500여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멘토링도 실시한다.

탈북학생 매년 증가, 2500명 넘어 #중국 등 제3국 출생이 절반 이상 #3D 프린터 등 직업교육도 강화

이와 함께 탈북 학생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초기에 겪는 일상생활의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탈북학생용 초기 정착 매뉴얼’도 보급한다. 매뉴얼에는 스마트폰과 컴퓨터 활용법, 공공기관 이용법, 또래 문화와 기본예절 등의 내용이 들어있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해 12월 탈북 학생 교육기관인 한겨레중ㆍ고를 방문해 현장 의견을 듣고 정책에 반영했다. 탈북 학생이 각계에서 인재로 성장해 남북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남윤서 기자 nam.yoonse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