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의 루머파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증시의 루머가 정치문제화 되고 이로 인해 주가가 기록적으로 폭락하는 등 증시 교란사태가 벌어졌다.
주가 조작설에 얽힌 이번 루머파동은 자본시장 육성은 물론 경제안정을 위해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어제(24일) 종합주가지수는 15.41포인트나 떨어져 증시사상 최대의 낙폭을 기록했다.
우선 민주당이 당의 공식 대변인을 통해 발표한 내용을 보면 대충 이런 것이었다.
일해재단이 4·8 증권시장안정을 위한 조치이후 1조원을 주식시장에 투자해서 시세조작을 통해 모두 2조원의 부당이득을 취했으며 부당이득의 상당부분이 민정당의 정치자금으로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는 루머가 있어 이번 국회에서 국정조사권을 발동해 진상을 밝히기로 했다는 것이다. 드디어 24일 열린 국회재무위는 증권감독원장을 불러 해명을 들었다. 『일해재단 측에서 증권시장에 투자한 주는 한 주도 없다』는 해명이 나오고 뒤이어 일해재단 측도 연구소 설립이후 증권을 거래한 사실이 없다고 했다.
주가조작과 거액 부당 이득설에 관련된 루머가 이처럼 쟁점화 된 것은 민주당 소속의원이 앞에서 밝힌 대로 루머내용을 들고 나와 증시의혹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고부터 였다.
원래 증시의 루머는 평판이 나있다. 아마 남자를 여자로 바꾸는 루머까지도 가능한 것이 증시다.
어쨌든 이번 주가조작설 관련루머가 통상의 루머차원을 넘어 정치문제화 되면서 증시에 준 충격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비록 루머일지라도 구체적으로 정치쟁점화 되면 경제에 주는 충격이 대단하다는 사실이고, 둘째는 문제가 되고 있는 주가조작설의 대상인 재단은 좀 더 명쾌하게 국민의 오해도 씻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첫째 문제와 관련해서는 공인의 입장에 있는 사람이 무책임하게 뒷감당도 못할 루머를 정치의 장에 끌어들인다면 과연 올바른 판단이냐 하는 것이다.
그 수많은 루머 중에서 특정루머를 쟁점화하여 그로 인해 돌이키기 힘든 경제적 충격을 주고 난 뒤 그 루머가 거짓으로 판정났을 때 과연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공인일수록 언행은 책임을 수반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할 것이다.
둘째, 일해재단 관련 루머와 같은 것은 그때마다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 문제의 재단 측이나 민정당은 그 루머가 사실이 아니라면 불명예를 벗기 위해서도 진상은 말끔히 밝혀야 한다. 뒤가 깨끗할수록 민정당이나 정부가 공연한 오해를 받지 않으려면 그 내막을 드러내 보여 주어야 한다.
더구나 때가 때인 만큼 이런 문제일수록 앞장서 밝히는 것이 루머의 정치쟁점화에 대한 경고도 되고 국민들의 의혹을 빨리 풀어주어 그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