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한 전 미르재단 사무총장, 법정서 최순실 녹취 공개 "신뢰할 수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법정 출두하는 이성한 전 미르재단 총장

법정 출두하는 이성한 전 미르재단 총장

이성한 전 미르재단 사무총장이 6일 미르재단의 실질적인 운영자가 최순실씨였다는 취지로 법정 증언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부장 김세윤) 심리로 열린 비선실세 최순실씨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9차 공판에서 이 전 총장은 증인으로 출석해 “항상 최종 결정은 최씨를 통해서 한 걸로 인지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전 총장은 검찰이 '최씨는 차은택씨가 미르재단을 실질적으로 운영했다고 주장하는데, 미르재단을 차씨가 운영한 것인가'라고 묻자 “아니다. 최씨가 운영했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이날 이 전 총장은 최순실씨가 지난해 8월 이 전 총장을 만나 모든 책임을 차씨에게 돌리도록 회유한 내용이 담긴 녹음파일 6개를 공개했다. 이 전 총장은 이날 법정에서 “미르재단 운영 과정에 대한 문제를 내게 (책임을) 돌릴 것 같았다. 이들(최씨와 차씨)을 신뢰할 수 없어 녹음하게 됐다”며 녹음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검찰이 '미르재단 설립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모두 증인(이 전 총장)에게 돌릴까봐 (녹음)한 것이냐'라고 묻자 “(재단) 설립 과정이라기보다 운영 과정이라고 하는 게 적절할 것 같다”고 답했다. 이어 “(미르재단) 사업이 계획없이 진행된다고 느꼈다”라고도 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씨는 차씨뿐만 아니라 김형수 초대 미르재단 이사장 등과의 대화 내용도 녹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내용이 법정에서 증거로 채택될 지는 아직 공식적으로 정해진 바 없는 상태다.

그는 “차은택씨는 미르와 관련해 자신과 회장님(최순실)한테 연락할 때는 차명폰을 쓸 것을 요청했다”며 “차씨의 요구로 차명폰을 만들었다”고도 털어놨다. 자신이 미르재단을 떠나게 된 데 대해 이 전 총장은 "운영의 정상적인 형태를 차씨에게 얘기했고, (차씨가) 제 앞에서는 그게 맞다고 했지만 결국 내가 (재단에서) 쫓겨나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지상 기자 groun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