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년이후 테러·보복 악순환|스리랑카 인종분규 왜 일어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해설>
스시랑카 의사당내의 폭탄테러 사건은 지난4년간 스리랑카를 피로 물들여온 다수 싱할리족과 소수 타밀족간의 종족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인도와 스리랑카 정부간의 평화협정 체결후 이와 관련된 국회대책을 논의하는 가운데 발생, 두 종족간의 화해가 순탄치 않으리라는 조짐을 보여 주고 있다.
다수족인 불교도 싱할리족(74%, 1천2백만명)과 소수족인 힌두교 타밀족(18%, 2백90만명)간의 분쟁은 영국식 민정책에서 비롯되고 있다.
차와 고무나무 재배, 노동력으로 인도 남부에서 이주한 타밀족은 토착민인 싱할리족에 비해 영국으로부터 우대를 받았는데 48년 독립이 되면서 식민시대에 억눌렸던 싱할리족 다수정부가 보복적으로 타밀족의 교육·취업기회를 박탈하는등 차별정책을 펴면서 비롯됐다.
「일람」(타밀어로 고향)이라는 국명을 사용하면서 싱할리족으로부터 벗어나 완전 독립국가를 세우겠다는 타밀족의 분리독립운동은 83년정부의 분리운동 불법화조치 이후 유혈테러사건으로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지난 83년이후 테러와 보복의 악순환으로 모두 5천여명이 사망했으며 지난 4월에도 수도 콜롬보시에서 폭탄테러사건으로 3백50여명의 사상자(사망 1백50명)가 발생했고 이번 협정체결중에도 이에 반대하는 싱할리족이 관공서에 불을 지르고 정부군과 맞서 90여명의 사상자(사망자 34명)를 냈었다.
타밀일람 해방호랑이(LTTE)를 주축으로한 5개타밀무장단체들은 그동안 스리랑카의 북부 및 동부지역의 완전 분리독립을 요구해 왔다.
특히 5천만명에 이르는 인도의 타밀족이 이들을 지원, 스리랑카-인도간의 외교문제로까지 번져「간디」수상이 스리랑카까지 가 3주전 평화협정을 체결했다.
인도측은 이에따라 평화유지군을 파견하면서 휴전유지를 위해 타밀족 게릴라의 무기반납을 도와왔다.
이 평화협정은 전면휴전과 함께 스리랑카 북동부지역에 올 연말까지 선거를 통해 지방위원회를 구성토록 하는등 제한적 자치권을 주고 이와함께 수감중인 정치범에 대한 전면 사면 등을 실시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불만을 품은 싱할리족은 연일 격렬한 반정부시위를 벌였으며 완전 독립국가를 원했던 타밀족내 과격파들도 일부 평화협정을 거부하고 나섰었다.
일부에서는 인도의 대국주의에 굴복한 처사라고「자야와르데네」정부타도를 주장하는 세력도 나왔다.
스리랑카 정부소식통은 폭탄사건이 불법화된 마르크스주의 추종단체 조직인 인민해방전선에 의한 것으로 혐의를 두고있으나 평화협정 조인으로『배신감』을 느낀 싱할리족 과격파의 행동일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을것 같다. <고혜련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