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매거진M 기자들의 2016 추천작③] '라우더댄밤즈' '아노말리사' '라라랜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내가 사랑한 올해의 영화

나원정 기자

‘올해 최고의 영화’를 가리는 기준은 여러 가지다. 하지만 해마다 최고의 영화로 기억되는 작품은, 살아온 배경도 다르고 취향도 제각각인 우리 각자가 사랑한 영화 아닐까.

극장을 나서는 순간부터 집으로 돌아가는 골목길까지 좀처럼 여운이 사라지지 않는, 그날 이후에도 머리와 마음속에서 끊임없이 되새김질하는 영화들 말이다.

연말을 맞아 magazine M 기자들이 흥행 성적이나 수상 결과에 상관없이 자신에게 남다른 의미로 다가왔던 영화를 세 편씩 꼽았다. 2016년 국내 개봉 영화를 기준으로, 철저하게 기자 6인의 개인적 취향과 감성을 반영해 골랐다.

이 글이 magazine M 독자들과 나누는 진심 어린 대화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제, 기자들이 묻는다. 당신이 꼽는 ‘올해 최고의 영화’는 무엇인가.

라우더 댄 밤즈 | 요아킴 트리에 감독 | 10월 27일 개봉

담백한 산문처럼 가슴에 스미는 영화다. 바쁘게 돌아가는 세상에 민감하지 않고, 자기만의 보폭으로 삶을 관조하는. 평일 밤이었나, 서울 광화문 어느 극장에서 ‘라우더 댄 밤즈’를 보고 거리로 나서는데, 조급한 마음에 잠시 브레이크가 걸린 것 같았다. 충분한 시간과 적당한 거리. 이 영화의 여운이 더 길었던 이유다.

영화는 아내이자 어머니를 잃고 3년 후, 여전히 상실감을 수습하지 못한 아버지와 두 아들을 비추며 시작된다. 살아가는 속도가 다른 세 남자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슬픔에 허우적대는 서로를 받아들이지 못해 삐걱거린다. 흥미로운 건 요아킴 트리에 감독이 이들을 지켜보는 방식이다. 답을 정해 놓고 몰아가는 여느 영화들과 달리, 그는 묵묵히 바라보기만 한다.

아버지는 좀처럼 대화할 기회가 없는 막내아들을 만나기 위해 아들이 좋아하는 사이버 게임에 접속하고(그 결과가 정말이지 예상 밖이다), 막내는 형에게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리기 위해 말 대신 컴퓨터에 써 둔 글을 보여 준다. 두 아들은 말수 적은 아버지가 단역 배우 시절에 출연한 영화를 보며 친밀감을 느낀다.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이 어떻든, 서로 알아 가는 과정이 어떻든, 다 좋다. 괜찮다.’ 트리에 감독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것 같았다. 애초에 그가 ‘3년’이라는 간격을 설정한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제대로 느끼고 살아가기 위해서는 누구에게나 시간이 필요하다.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오히려 한발 물러나야 할 때도 있다. 조금 서툴고 더뎌도, 뭐 어떠랴. 삶을 애도하는 나지막한 순간들이, 마치 나에게 보내는 위로 같았다.

아노말리사 | 찰리 카우프먼·듀크 존슨 감독 | 3월 30일 개봉

시작 후 1분쯤 지났을까. ‘캐릭터들 목소리가 왜…?’ 이 문장을 끝맺기도 전에 깨달음이 찾아왔다. 입이 딱 벌어지는 감탄과 함께. 사운드까지 정교한 이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은, 공동 감독이자 각본가인 찰리 카우프먼이 왜 천재인지 말해 주는 또 한 편의 증거다. 어떤 관계가 햇살처럼 충만하게 차올랐다가 삭막하게 말라붙는, 또 다르게 변화하는 순간들을 초감각적으로 표현한 놀라운 작품.

라라랜드 | 다미엔 차젤레 감독 | 12월 7일 개봉

‘프란시스 하’(2012, 노아 바움백 감독)에서 프란시스(그레타 거윅)가 춤추듯 질주하던 흑백 장면, ‘만추’(2011, 김태용 감독)에서 가슴 설레던 상황극, 애니메이션 ‘업’(2009, 피트 닥터·밥 피터슨 감독)에서 노부부 일생이 압축된 오프닝신까지. ‘라라랜드’를 보는 내내 좋아해 온 모든 영화의 순간들이 폭죽 터지듯 뇌리를 스쳤다. 다르지만 똑같이 황홀하고, 영원처럼 아득한 ‘영화’라는 축복.

나원정 기자 na.won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