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3당 주말 집회 세몰이, 정국 분수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야당이 12일 서울 광화문 장외투쟁에 앞서 세몰이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10일 각각 의원총회를 열어 촛불집회 참석을 독려했다.

새누리 “총리 추천 않고 장외 가나”
정부는 공무원 참여 금지 공문

기동민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12일 오후 2시 당원보고대회 이후 오후 6시부터 광화문 촛불집회까지 최대한 참여해 우리 당의 입장을 명확히 전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국민의당은 이날 중앙위원회를 열어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 요구를 당론으로 정했다. 12일 집회에도 당 차원에서 적극 참여키로 했다. 박 대통령의 탈당과 영수회담 후 거국중립내각 구성이라는 기존 입장보다 강경해졌다.

하지만 민주당은 지도부의 촛불집회 참석 여부는 결정하지 못했다. 장외투쟁에 대한 역풍을 우려하는 기류 때문이다. 양당 모두 12일 오후 4시 민주노총 등이 주도하는 ‘민중총궐기’ 집회에는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 민주당의 한 초선 의원은 “민주노총 총궐기 집회에는 휩쓸리기 싫다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행정자치부는 민중총궐기 집회에 소속 공무원이 참여하지 않도록 하라는 공문을 지난 1일과 9일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 내려 보냈다. 윤관석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공무원들이 국가를 바로잡으려 나서는 것을 막으려고 한다”고 반발했다.

야권 대선주자들도 광화문 집회를 앞두고 대응 수위를 높였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이날 홍익대 근처에서 박근혜 대통령 하야 촉구 서명운동을 벌였다.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도 페이스북에 “주변국들의 박 대통령에 대한 신뢰가 바닥인 상황에서 긴밀한 한·미 대화가 어렵다”며 “박 대통령은 국정에서 손을 떼고 거국중립내각을 통해 여야가 초당적으로 위기상황을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야당이 12일 집회를 앞두고 세 모으기에 나서는 건 집회 규모가 향후 정국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민경욱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야당은 장외투쟁이 아니라 국회가 추천하는 총리를 임명하는 절차에 착수해야 한다”며 “여소야대 국회에서 권한과 역할을 포기하고 국회 밖으로 나가겠다는 것은 거대 야당의 존재를 스스로 부정하는 일 ”이라고 비판했다.

글=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