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도권 다툼하던 세종시-행복도시청, 갑자기 손잡은 이유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100억원 이상의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고 국내로 오는 해외 대학 캠퍼스에는 사무실 등 공간을 무상으로 빌려 줄 수 있다. 국립대를 포함한 국내 대학도 분교 설립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산학융합지구로 지정되면 받는 혜택이다.

국비 120억 산학융합지구 유치 나서
3만6000㎡ 부지에 건립 추진키로
8개 대학, 113개 기업 입주 계획
11월 말 2개 지구 최종 선정 예정

세종시를 놓고 주도권 다툼을 벌이던 행복도시건설청(건설청)과 세종시가 산학융합지구 지정을 받기 위해 이례적으로 협력에 나섰다. 건설청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전국을 대상으로 공모하는 올해 ‘산학융합지구’ 지정 사업을 최근 신청했다”고 8일 밝혔다. 이충재 건설청장은 “산학융합지구는 올해부터 본격 추진하는 있는 세종시 2단계 개발의 핵심 과제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학과 연구기관 유치, 첨단 산업단지 분양 등을 통한 자족기능 확충이 2단계 개발의 목표다.

두 기관이 산학융합지구 지정을 추진 중인 곳은 세종시 신도시 4-2생활권 3만 6000㎡의 부지다. 이곳에 산학연클러스터지원센터와 융합형 지식산업센터 등 2개의 핵심 시설(건물)을 지을 계획이다. 시설에서는 근로자 평생학습, 연구개발(R&D) 연계 현장 맞춤형 교육, 중소기업 역량 강화 교육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모두 8개 대학이 학사 4개, 석·박사 5개 등 학위 과정(학생수 총 900명)을 개설한다. 총 사업비는 729억원이다. 산학융합지구로 지정받으면 관련법에 따라 이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적어도 5년간 120억원의 정부 예산을 지원받을 수 있다.

건설청과 세종시 등은 산학융합지구가 지정되면 국내·외 8개 대학이 입주할 뜻을 갖고 있다고 했다. ▶서울대▶KAIST▶고려대▶아일랜드 트리니티대▶오스트리아 프로이드대 등 대부분 명문대학이다. 이와 함께 한화, SK 등 대기업과 첨단·벤처기업 등 모두 113개 업체가 입주를 약속했다. 건설청 홍순민 도시성장촉진과장은 “이들 대학과 기업은 이미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입주의사를 강하게 밝혀왔다”며 산학융합지구가 지정되면 서둘러 입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학융합지구에는 산업집적법 등 관련법에 따라 대학들이 자유롭게 분교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 외국대학에는 사무실 등을 무료로 빌려주는 등 인센티브 부여가 가능하다. 국내·외 대학이 개설되면서 기업·연구소 등의 입주도 촉진될 수 있다.

정부의 산학융합지구 공모는 올해가 마지막이다.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경기 ‘반월시화지구’, 구미, 오송(청주) 등 전국에서 모두 11곳을 산학융합지구로 지정했다. 올해 공모에는 세종 외에 대구, 인천, 나주, 제주 등 전국에서 모두 5개 지역이 참여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발표 평가, 현장 점검, 서류 심사 등을 거쳐 이달 말께 2개 지구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건설청 등은 “대덕연구개발특구와 바이오산업 중심지인 충북 오송의 중간에 위치하는 등 지리적 이점과 참여 희망 기관의 규모 등에서 다른 지역보다 월등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