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으로] 아무런 꿈도 없이 살아가는 요즘 30대 ‘우울한 초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기사 이미지

상냥한 폭력의 시대
정이현 지음, 문학과지성사
252쪽, 1만2000원

“나는 그럭저럭 살아간다. 이런 시대에 이렇게 살아갈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진심과는 관계 없이, 어떤 일이 일어난다”, “그들은 과도하지 않을 만큼 친절한 태도로 서로를 대했다”, “남자들은 의외로 별일 아닌 데 집착하고 그런 스스로에게 짜증과 환멸을 느끼는 순간 떠날 수 있는 존재들이었다.”

작가 정이현(44)씨가 9년 만에 펴낸 소설집인 신간에서 발췌한 문장들이다. 요즘 우리 삶의 양상에 대한 어떤 진실을 전하는 느낌이다. 전체 일곱 편 중 세 편에서 뽑은 문장들이지만 한데 묶으면, 하나의 완결된 이 시대 젊은이들의 초상이라도 그릴 것 같다. 가령 연애에 적당히 신물 난 30대 초반 여성인 ‘나’는 종종 진심이 무시되는 세상에서 친절을 가장한 채 아무런 꿈도 없이 그럭저럭 살아간다. ‘작가의 말’에서 정씨가 밝힌대로 “이제는 친절하고 상냥한 표정으로 상처를 주고받는 사람들의 시대인 것만 같다”는 얘기다.

그런 진단에 동의한다면 소설집의 단편들이 실감날 것 같다. 마지막 작품 ‘안나’는 소설집 제목의 의미에 정확히 들어맞는 작품. 나머지 작품들은 느낌이 조금씩 다르다.

정씨는 『낭만적 사랑과 사회』 등 이전 작품들에서 평범한 표피 아래 도사린 도발적인 맨얼굴이라고 할 만한 시대 풍속을 선보인 바 있다. 이번 소설집의 ‘우리 안의 천사’가 비슷한 느낌의 작품이다. 결혼이라는 절차 없이 함께 사는 동거 커플 남우·미지가 거액의 재산 상속을 노리고 사실상 존속 살인을 시도하는 일탈의 서사다.

신준봉 기자 infor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