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급여 진료비 병원별 격차 여전…1인실 입원비 최대 4.9배 차이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비의 병원별 차이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1인실 상급병실료(입원비) 격차는 최대 4.9배였고 다빈치로봇 수술료는 1000만원 이상 차이가 났다. 정의당 윤소하 의원(국회 보건복지위 소속)은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3~2015년 병원별 비급여 진료비 항목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인실 입원비가 가장 비싼 병원은 서울아산병원으로 44만9000원이었다. 반면 한림대성심병원은 9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2013년 당시 삼성서울병원이 44만5000원으로 최고, 단국대병원이 8만원으로 최저였던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가 없는 셈이다. 2인실 입원비도 상황은 비슷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세브란스병원(23만원)이 부산대병원(5만7000원)의 4배를 넘었다. 2013년에도 세브란스병원(21만5000원)이 부산백병원(5만원)의 4배 이상이었다. 2년새 최저·최고 비용 모두 오른 동시에 병원별 격차가 그대로 유지된 것이다.

다빈치로봇 수술료의 병원별 차이도 컸다. 갑상선 악성종양 근치수술(지난해 기준)만 놓고 비교했을 때는 국립대병원인 충북대병원이 가장 비싼 1500만원이었다. 반면 원광대병원은 가장 싼 440만원으로 충북대병원보다 1060만원 적었다. 또한 2013년과 2015년 수술료를 비교해도 큰 변화가 없었다.

지난해 처음으로 공개된 치과ㆍ안과 관련 비급여 진료비도 격차가 상당했다. 치과보철료는 삼성서울병원이 106만원인 반면 화순전남대병원은 17만원으로 6배 이상 차이가 벌어졌다. 라섹 수술비도 강북삼성병원은 240만원이지만 길병원은 115만원으로 절반 이하였다. MRI 진단료와 체온열검사료 등도 병원에 따른 비용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윤소하 의원은 정부가 병원급 이상의 비급여 진료비를 심평원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지만 실제 진료비 인하 등의 효과가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비급여 진료비 공개가 의료진ㆍ의료기기 수준 등 개별 병원의 여건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는 한계가 있지만 국민들에게 정보 획득을 통해 의료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필요한 제도"라고 밝혔다. 하지만 "3년간의 공개 결과를 보면 금액 자체가 크게 줄지 않았다는 점에서 단순 가격 공시만이 아닌 진료행위 빈도 등을 포함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