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과열의 경계수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경기가 정점을 향해 계속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5월중의 경기종합동행지수, 제조업 가동률, 생산·출하증가율 등은 모두 가장 최근의 경기 정점이었던 84년 1·4분기 수준에 거의 접근해있거나 오히려 더 높은 수준에 있다.
그것도 경기의 내리막추세가 다시 회복되기 시작했던 지난해 3·4분기 이후 겨우 8개월만의 일이다.
더구나 지금까지의 가파른 경기상승세는 가격경쟁력을 등에 업은 수출증가가 주도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다 미국 등 선진국들의 경기회복까지 가세한다면 현재와 같은 수출주도의 고성장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 거의 확실하다.
올 상반기 중의 성장률이 10%를 넘으리라는 관측이 벌써 나오고 있고 올해 무역수지흑자도 당초 예상보다 더 커질 전망이다.
그러니 「과열」걱정이 안 나올 수가 없고 또 사실 지금이 바로 그 같은 걱정을 하고 미리미리 손을 쓸 때다.
경기의 회복속도가 워낙 빠르고 또 지나칠 정도로 수출에 의해 주도된 경기회복이기 때문에 내수형 중소기업 등 활황의 재미도 미처 맛보지 못한 목에서는 펄쩍 뛸 노릇이겠으나 경기가 지나치게 빨리 달구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정부는 「과열」이나 「불황」이란 용어사용을 인색하리만큼 기피하는 것이 통례인데 이번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경제기획원은 6월중 월간경제동향분석에서 올 들어 처음으로 현 경기수준을 「본격적인 활성화 국면」이라는 정도의 표현을 쓰고 있다. 그러나 사실 정부도 내심으로는 과열걱정을 진작부터 해 왔고 이미 필요한 만큼 손을 쓰기 시작했다.
한은의 재할이율을 올리고 통화안정증권발행을 늘리는 등 총수요관리와 물가안정을 위해 돈 거두어들이기에 나선 것도 과열경기를 염려해서다. 또 외채절감상황을 다시 점검하고 부동산투기에 대해 다시 한 번 엄포를 놓는 것도 이 같은 과열경기 걱정과 무관하지 않다.
나아가 정부는 해외부문에서의 보다 적극적인 통화환수를 위해 곧 수출지원금융 융자단가도 하향 조정할 계획이므로 일단 현재로서 할 수 있는 웬만한 수단은 거의 다 실행에 옮기고 있는 셈이다.
수출업계에서는 당장 싫은 소리가 나올 것이고, 전경련 등 민간경제단체에서는 『지금이 결코 과열이 아니다』라고 애써 강조하지만 그간 수출산업설비금융 등으로 늘어나는 통화의 혜택을 담뿍 받은 수출업계의 처지를 생각해보면 과열경기대책을 탓하기만 할 수는 없는 일이다.
경기의 과열 예방책이 타이밍을 놓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요컨대 중요한 것은 한해·두해에 연율 10%이상의 고성장을 만끽한 후 인플레나 경상수지적자 등의 부작용을 다시 안고 씨름하는 대신 어떻게 적정수준의 활황을 가능한 한 오래도록 지속시켜나가느냐 하는 문제인 것이다.
이 같은 뜻에서 최근의 경제동향에는 눈 여겨 보아야할 대목이 몇 군데 있다.
5월중의 제조업가동률 83.2%는 과거의 경기정점이었던 78년8월의 85.8%, 81년6월의 72.2%, 84년2월의 80.6%등과 비교해 볼 때 「경계수위」라 할 만하다. 또 5월중의 산업생산증가율(전년 동월비) 10%는 80년대 들어서의 최고수준(84년3월 20.7%)과 맞먹는 수치다.
그보다 더 주목할 것은 5월중 생산·출하·소비증가세가 내수에까지 파급되는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내수용 출하는 5월중 12.1% 늘었으며, 내수용 소비재의 수입증가세는 지난해 상반기 중 14.8% 감소에서 올 상반기 중 7.5% 증가로 반전하고 있다.
또 지표로 잡히지는 않았지만 국내업계의 원자재 재고가 상당히 낮은 수준에 와있다는 것도 주목해야한다.
이밖에 앞으로의 경제운용상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부문이 바로 통화환수지만 이 경우 내수산업·중소기업 등 이른바 3저의 혜택을 가장 더디게 보는 부문이 이번에는 거꾸로 가장 먼저 타격을 받기 십상이다. 따라서 그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함께 마련하는 것도 경기과열 예방책 못지 않게 중요한 과제다. <김수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