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의 힘] 산림청, 산림자원 개발…아프리카·중동까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5면

기사 이미지

신원섭 산림청장(왼쪽)과 이란의 좔랄리 산림유역관리청장이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사진 산림청]

한국의 해외산림자원개발(조림)사업은 아프리카와 중동까지 확대되고 있다. 동남아에서 시작된 해외산림자원개발이 남미와 중국 대륙 등을 거쳐 전 세계로 진출하는 양상이다. 신원섭 산림청장과 케베데 이맘 에티오피아 산림환경기후변화부 차관은 지난 5월 26일(현지시각) 에티오피아 대통령궁에서 양국 정상들이 참석한 가운데 산림 및 기후변화 대응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에티오피아·남아공·이란 정부와 협력

양국은 산림녹화 기술협력과 연수·연구 지원·탄소배출 저감활동, 대규모 녹화를 위한 산림종자 보관·가공분야 연구·기술 협력 등에 나선다. 에티오피아는 산림황폐와 기후변화로 인한 최악의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기후대응 녹색경제(CRGE)라는 대규모 계획을 수립하고 국가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무분별한 벌채로 황폐화 돼 국토의 9%가량만 산림으로 남아있고 지난해부터 최악의 가뭄피해를 겪고 있다.

신 청장은 이어 지난 5월 31일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 농업산림수산부에서 센제니 조크와나 남아공 농림수산부장관과 면담을 갖고 양국 산림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또 2021년 제15차 세계산림총회 한국 유치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앞서 신 청장은 지난 5월 2일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코다카람 좔랄리(Khodakaram Jalali) 산림유역관리청장과 ‘한·이란 산림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앞서 이란정부는 한국의 성공적인 산림녹화에 관심을 갖고 2009년과 2014년 2차례 한국과의 산림협력을 요청했으며, 최근 양국간 정상회담을 계기로 공식 MOU체결이 성사됐다.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산림청은 이란의 산림복원에 적극 참여키로 했다. 산림복원은 조림 기술을 이란에 전수하고 예산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또 이란지역의 사막화·침식 방지, 산불·병해충관리, 기후변화대응, 산림공원관리 등의 분야에서 협력키로 했다.

이란 아르보즈 산맥 북쪽지역은 산림자원이 풍부한 편이다. 유네스코 생물권보호지인 아라스바란 등 유명 산림지대도 있다. 하지만 테헤란 인근은 강우량이 적어 황무지가 된 곳이 많다. 산림청은 이란 산림녹화 사업이 성사되면 다른 중동 지역 조림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한국은 전 세계 14개국에 34개 기업이 진출해 39만 9068㏊를 조림했다. 조림사업 대상 국가는 호주·뉴질랜드·베트남·필리핀·인도네시아·라오스·캄보디아·우루과이·파라과이·칠레·중국·몽골 등이다. 이 가운데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규모가 크게 진행되고 있다. 10여개 기업이 1993년 이후 지난해까지 인도네시아에서 일군 조림 규모는 총 29만6288㏊로, 국내 기업의 해외 전체 조림 면적의 74%를 차지한다.

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