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X조선해양 노조도 쟁의행위 투표 가결

중앙일보

입력

경남 창원의 STX조선해양 노조가 파업 수순에 들어갔다. 투표로 쟁의행위 돌입을 결의한 것이다. 앞서 지난 14일과 지난 17일 거제 대우조선해양 노조와 울산 현대중공업 노조도 쟁의행위 투표가 가결되거나 쟁의 발생을 결의해 파업을 예고했다.

금속노조 STX조선지회는 지난 15일부터 3일간 조합원 987명 가운데 767명이 투표에 참여, 찬성 543명(70%), 반대 220명(29%), 무효 4명(1%)으로 파업을 결의했다고 19일 밝혔다. 노조는 이달 초 경남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냈다. 지노위에서 노사간 임금·단체 협상안에 이견이 커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리면 합법 파업이 가능하다. 지노위 결정은 이달 말 나올 전망이다.

노조는 사측의 일방적인 임금협상과 자구계획안에 반발하고 있다. STX조선지회 관계자는 “2013년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 체결 이후 4년간 임금이 동결된 데다 550% 상여금도 유보됐다. 사측이 자구계획안이라면서 임금 삭감과 구조조정, 단체협약상 근로자 복지 후퇴 등을 일방적으로 추진하려고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당장 파업은 어려울 전망이다. STX조선지회 관계자는 “당장 파업을 진행할 계획은 없다”면서 “노조도 일정 부분 희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어 노사가 충분한 협의를 해야 하는데, 사측이 노조에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노조는 또 주채권단인 산업은행의 미지급 지원금 600억원 집행과 자율협약 이후 투입된 공적자금 4조5000억원의 사용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4조5000억원 가운데 운영자금으로 사용된 것으로 확인된 금액은 8000억원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회사 측 관계자는 “이번 투표는 쟁의요건을 갖추기 위한 것이지만 현재 여건상 파업 가능성은 작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그는 “주채권단 측에서 관리·감독 부실 책임이 제기되자 추가 지원을 꺼리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공적자금은 자율협약 이전에 수주한 저가 선박의 건조 취소에 따른 손해배상금액 1조여 원, 중국 대련조선소의 지급보증금 수천억 원, 자율협약 이후 수주 선박 건조에 2조여원 등에 쓰여 쓰여 노조 주장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STX조선해양은 지난달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기업회생 절차를 맡은 서울 중앙지법 파산3부(부장판사 김정만)는 오는 9월 STX의 파산 또는 회생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창원=강승우 기자 kang.seungw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