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강요에 못 이겨 당했던 그 일을 역사에 남겨야 한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Our History 페이스북에 잠깐 오셔서 '좋아요'를 꾸욱 눌러주세요!

https://www.facebook.com/ourhistoryO

[Story O] 일본군 ‘위안부’/ “강요에 못 이겨 했던 그 일을 역사에 남겨야 한다”

#1
한 할머니가 카메라 앞에 앉았습니다
그리고 울분에 찬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뉴스를 보고 결심을 단단하게 했어요. 나라를 잃고 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이 이렇게 살아있는데 일본에서는 그런 일이 없었다니 가슴이 떨려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2
“내 나이 열여섯. 일본인이 억지로 옷을 벗기고 위로 올라오자
나는 그 아픔에 옷이 벗겨진 것도 잊은 채 벌떡 일어섰지요
그러자 주먹으로 내리치는 바람에 얼마나 울었던지”

#3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1924-1997)의 증언으로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가 세상에 처음 알려졌습니다

#4
이전까지 피해 할머니들은 증언을 꺼려왔습니다
세월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 수치심과 괴로움 때문이었죠
사진설명: 1944년 9월, 미군에 의해 구출된 조선인 위안부

#5
세상의 시선도 곱지 않았습니다
“ ‘할매들이 돈 받으려고 나오나’, ‘그게 자랑이냐’라는 소리를 들을 때 발등을 찍으며 후회도 했다”
- 이용수 할머니

#6
가족들조차 달가워하지 않았죠
“언니에게 의논하니 '조카들도 있으니 제발 피해 사실을 신고하지 말라'고 했어요.
신고 후 가족들이 내게 발을 끊었죠” - 김복동 할머니
사진설명: 2013년 7월 30일, 해외 첫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

#7
하지만 김학순 할머니의 용기로 다른 피해 할머니들도 가슴에 묻어뒀던 상처를 꺼냈고
“군인 방에 안 들어가겠다고 하니 관리자가 전기 고문을 해요.
내가 ‘엄마’하고 어찌나 세게 불렀는지 그 소리가 귀를 막아도 지금까지 나요.”
- 이용수 할머니
사진설명: 위안소 입구에 줄서서 기다리는 군인들

#8
‘위안부’ 문제는 공론화되기 시작합니다
“남사스럽지만 정신대* 문제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나섰다 역사적으로 한국민족이 당한 이 수치를 갚아야 한다” - 문옥주 할머니
(*당시에는 정신대라 불렀으나, 여기엔 노동력만 착취 당하는 사례도 포함돼 현재는 ‘위안부’와 분리 사용)
사진설명: 버마전선 포로수용소의 위안부들

#9
김학순 할머니의 공개 증언 이후 25년만인 2016년,
피해 할머니들의 증언은 ‘일본군 위안부의 목소리*’ 란 이름으로 한데 모였습니다
(*피해자 증언 기록, 위안부 운영 사실 증명 자료, 피해자 조사자료, 치료기록 등 총 2744건)

#10
“용기 내 과거 사실을 알린 것은 정의를 향한 첫걸음이었다”
한국, 중국, 일본, 네덜란드 등 9개국 시민단체들이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신청한 것입니다
사진설명: 일본에서 '위안부' 보상법정투쟁 나선 김학순 할머니

#11
“일본군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니다
일본 내 우익 단체들은 이에 맞서
위안부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겠다고 나섰습니다
사진설명: 2006년 7월 5일, 눈물 훔치는 김순옥 할머니

#12
한 할머니의 용기로 우리는 일제강점기에 태어난 죄로 꽃다운 시절을
고통스럽게 보냈던 소녀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사진설명: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 위안소[제공=정성길 계명대 동산의료원 관장]

#13
“우리가 강요에 못 이겨 했던 그 일을 역사에 남겨 두어야 한다” - 김학순 할머니
할머니들의 용기가 없었다면 묻혔을 진실,
이제 우리가 이 뼈아픈 역사를 함께 기억해야 할 때가 아닐까요
사진설명: 2016년 1월 6일, 김학순 할머니 석고상 어루만지는 이용수 할머니
(일단 이 사진으로 해두었는데 마지막 사진은 무엇이 좋을까요?ㅜㅜ!!!)

취재.구성 이근아/ 디자인 박다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