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제보 있어서 수사 나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청와대는 12일 검찰의 롯데그룹 비자금 수사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비리가 있으면 수사를 하는 것이지 수사에 어떤 목적을 두는 일은 있을 수 없다”며 정치권 일각에서 나오는 ‘사정설’에 선을 그었다. 이 관계자는 “롯데그룹의 경우 검찰이 나서서 수사했다기보다 제보가 있어서 수사에 나선 것”이라며 “이번 사건은 롯데그룹의 문제이고 어떤 측면에선 자업자득”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관계자는 “청와대 입장에선 사정도 중요하지만 경제살리기가 더 급하다”며 “청와대가 이런 문제에 관여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더민주 “사정정국 악용은 안 돼”

새누리당 지상욱 대변인은 “결과가 나오지 않아 수사를 두고 봐야 한다”면서도 “범법 내용이 있다면 엄정하게 법 집행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재 원내대변인은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대기업이 비리 수사 대상에 오른 데 대해 유감을 표한다”며 “의혹이 남지 않도록 철저한 수사가 진행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새누리당 내부에선 이번 수사와 관련해 검찰의 칼끝이 이명박(MB) 정부를 겨냥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MB 정부 출신 인사는 “수사에 정치적 배경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설사 있다고 해도 롯데와 관련해서도 문제가 될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4대강·포스코 등과 관련해서도 오랜 기간 검찰이 들여다봤지만 결국 별일 없지 않았느냐”고 덧붙였다.

야당은 비리가 있을 경우 수사는 불가피하지만 국면 전환을 위해 사정 정국을 조성하는 등 정치적으로 이용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재경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대우조선해양 수사는 물론 롯데 관련 수사도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성역 없이 공정하고 신속하게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대변인은 “사정 정국을 만들어 국면을 장악하려 한다거나 전 정권의 비리를 파헤쳐 국면을 전환하려 하는 식으로 정치적으로 악용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손금주 국민의당 대변인도 “정치적 목적으로 수사가 진행되지 않아야 하고 공정하고 성역 없는 수사가 신속히 이뤄지길 촉구한다”며 “검찰이 사건에 따라 자의적으로 잣대를 적용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남궁욱·이지상 기자 periodist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