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총참모장 "내가 군인이기에 안다. 사드는 필요이상의 무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제15회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 참석중인 쑨젠궈(孫建國) 중국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은 5일 "(주한미군의)사드 배치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사드는 지상 40~150㎞에서 미사일을 요격하는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 체계로,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가중되자 주한미군에 사드를 배치하기 위해 한미가 공동실무단을 구성해 사드의 배치지역과 운영방식 등을 놓고 협의중이다.

쑨 부총참모장은 이날 샹그릴라 대화 마지막날 본회의 기조연설에서 "사드는 지역의 안정을 잠식하는 수단"이라며 "군인으로써 사드가 어떤 의미인지 잘 안다. 사드 배치는 방어능력을 훨씬 능가하는 필요이상의 조치"라고 강조했다. 사드를 방어용이라고 밝히고 있는 한미와 달리 중국은 이를 공격용 내지 자신들을 감시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다.

그의 언급은 연설문을 읽는 과정에서 나왔다. 그런만큼 현지에선 중국 정부가 사전에 내부조율을 거쳐 '작심하고' 한 발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쑨 부총참모장은 전날 오후 진행된 한중 국방장관회담에서도 나왔다. "사드가 중국의 전략적 이익을 침해한다"는 취지였다. 30분간 진행된 회담의 상당시간을 이 부분에 할애했다고 한다. 비공개로 진행한 회담에 이어 35개 국가와 국방관련 기관 대표단이 참석한 공개적인 자리에서 반대 '선언'을 한 셈이다.

이런 중국의 입장에 한민구 장관은 4일 열린 회담에서 "중국이 사드를 과대평가해서 보는게 아니냐, 사드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방어용 무기다. 필요하면 기술적으로 얼마든지 설명해 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이같은 설득이 먹히지 않은 것이다. 특히 한 장관은 회담에 앞서 열린 본회의에서 "사드 배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밝혀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기정사실화 했다.

한중 국방고위당국자들이 공개적인 자리에서 사드문제를 놓고 충돌이 벌어짐에 따라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로 국제사회에서 대북제재를 하기로 한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의 이행에 문제가 생길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쑨 부총참모장은 "중국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평화와 한반도 안정을 도모하고 있고,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도 이 차원"이라며 "북한 핵문제를 협상테이블로 돌려놓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자신들은 북한 비핵화에 노력하고 있는데 중국이 민감하게 생각하는 사드 배치를 강행할 경우 비핵화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는 대목이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