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X조선 법정관리 여부 오늘 논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STX조선해양 채권단은 25일 서울 산업은행 본점에 모여 STX조선해양의 법정관리 전환 여부를 논의한다. 이달 초 회계법인의 실사에서 계속되는 수주난을 감안할 때 채권단 공동관리(자율협약) 형태의 지원은 효과가 작다는 평가가 나왔기 때문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법정관리를 공식 안건으로 부의한 뒤 다음주 중 가부 의견을 취합해 결정을 내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법정관리 전환은 채권단 75%의 동의를 얻으면 된다.

채권단, 자율협약으론 한계 평가

STX조선의 금융권 채무는 4조원 이상의 대출금과 1조원 이상의 선수금환급보증(RG)을 합쳐 총 6조원이다.

RG는 선주가 선박 건조 계약 때 조선사에 준 선수금을 금융회사가 지급보증하는 상품이다. STX조선이 법정관리에 들어가 선박 건조에 차질이 생기면 채권단이 현재 선박을 발주한 선주들에게 대규모의 RG을 물어줘야 할 수도 있다.

STX조선해양은 저가 수주에 따른 적자 확대로 경영난에 빠지자 2013년 4월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맺었다. 금융권에서는 “법정관리로 보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정부와 산업은행은 “지역경제와 고용 등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살리기로 한 뒤 4조원을 투입했다. 전형적인 ‘대마불사(큰 말은 죽지 않는다)’ 논리였다.

그러나 지난해 말 다시 경영상태가 악화됐고, 채권단은 4000억원을 추가로 지원했다. 인력감축·사업축소를 통해 중소형 조선사로 탈바꿈하는 내용의 구조조정안도 내놨지만 결국 수주난이라는 벽을 넘지 못했다. 자율협약 과정에서 우리·KEB하나·신한은행이 채권단에서 탈퇴했고, 현재 산업은행(48%)·수출입은행(21%)·NH농협은행(18%) 등이 남아 있다.

이태경 기자 uni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