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살균제 2001년 시판” 현 정부 책임론에 부정적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단이 13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회동에 앞서 기념 촬영을 위해 자리를 잡고 있다. 김성우 홍보수석은 이날 회동 뒤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과 3당 대표가 회동을 정례화해 분기마다 만나기로 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현기환 정무수석, 박지원 국민의당·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박 대통령,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 변재일 더민주·김광림 새누리당·김성식 국민의당 정책위의장.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여야 원내대표단과의 청와대 회동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과 관련한 현 정부 책임론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우상호 “여·야·정 조사 협의체
합의가 아니라 대통령 제안”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회동 뒤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에게) 검찰의 철저한 수사와 별개로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 및 책임 규명을 해야 한다. 정부가 선도적으로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안방의 세월호 사건’이란 표현도 썼다고 한다.

이에 박 대통령은 “(가습기 살균제는) 2001년도에 시판을 허용했고, 아무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았다. 2006년 원인 불명의 환자가 발생하기 시작해 그때부터 조사를 시작했지만 결과가 나오지 않다가 2011년 원인이 밝혀졌다”고 답했다고 박 원내대표가 전했다. 박 대통령이 언급한 시판(2001년)과 환자 발생 시기(2006년)는 각각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이고, 원인이 밝혀진 시점(2011년)은 이명박 정부 때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도 가습기 문제에 대한 진상 규명과 정부 대책을 주문하자 박 대통령은 “필요하면 여·야·정 협의체를 만들어서 국회에서 (조사)해달라”고 답했다고 한다.

하지만 야당 원내대표들은 여·야·정 협의체에 대해선 즉답을 하지 않았다. 우 원내대표는 회동 후 “(협의체는)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한 게 아니라 대통령의 제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살균제 문제에 정부의 책임도 규명해야 하는데 협의체를 꾸려 공동으로 이 문제를 규명할 수 있느냐는 측면에서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