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사회참여엔 긍정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천주교의 대다수 성직자들은 교회의 사회참여를 지지하고 있으나 참여폭에서 이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천주교회 2백주년기념 사목 회의 위원회가 펴낸 사회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성직자 4백75명 중 46.5%가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지지했고 적당한 법 위에서의 참여를 원하는 성직자도43%에 달한 반면 사회참여가 필요치 않다고 주장한 성직자는 1.7%에 불과했다.
또 6백50명의 천주교신자를 대상으로 같은 문제를 조사해본 결과 전체의 약 반수에 달하는 47.23%가「좀더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지금 하고있는 정도면 족하다」는 반응은 11.69%에 불과했다. 「사회참여의 폭을 줄이고 대신 영신적 문제에 더욱 몰두해야 한다」는 의견은 13.38% 「우선 교회내 문제부터 해결하고 사회참여를 해야 한다」는 견해도 20.92%를 차지했다. 전체 응답자의 79.84%가 교회의 사회참여에 기본적으로 찬성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러면 일반인들의 반응은 어떤가. 같은 조사에서 조사대상자 7백6명중 36.83%가 「폭넓은 사회참여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44.9%는 「제한된 범위의 참여만이 필요하다」 는 반응을 보였다.「종교의 사회참여는 전혀 필요치 않다」고 대답한사람은 16.57%.전체적으로 대다수인 81.73%가 교회의 사회참여를 찬성했다.
최근 논란이 돼온 교회의 사회참여문제는 천주교의 경우 성직자나 신자는 물론 일반인들도 대다수가 그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회 토착화에 대한 천주교신자의 반응은 어떤가.
먼저 교회예절의 변화를 크게 찬성하는 신자는 조사대상자 3백13명중 15.34%, 「어느 정도 찬성한다」가 48.56%로 나타났다.. 과반수 이상이 교회예절이 사회변화에 따라 변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반대하는 응답자도 29.39%를 차지했다.
미사때 사제가 입는 제의를 간소화해야한다는 반응은 34.82%인 반면 현행대로 두자는 의견이 54.32%로 지배적이었다. 도포나 두루마기를 미사제의로 사용하자는 의견엔 69.1%가 반대했고 미사수건사용은 75.4%가 그대로 두자는 의견이었다.
성가를 우리 민요나 창으로 부르면 어떻겠는가 라는 물음엔 23.64%가 경우에 따라 좋다고 응답했고 4.47%가 그럴 필요가 없다고 대답한, 반면 대다수인 67.73%가 모르겠다는 반응이었다.
죽은 영혼을 위해 기도하는 위령의날을 현행 11월2일에서 추석으로 옮기자는 의견엔 68.05%가 찬성했고 15.02%가 반대.
그밖에 기혼자에게 사제품을 수여하는 문제에 대해선 조사대상 성직자의 33·1%가 찬성했고 52.6%가 반대했다.
여성에게 사제품을 수여하는데는 78.7%의 성직자가 반대, 성직자의 직무나 자격에 관한 어느 문제보다도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사제독신제에 대해서도 73.5%가 찬성, 강한 보수성을 드러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