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기업 정리싸고 금융계 진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선거가 끝나자 부실기업정리가 발등의 불로 등장했다.
부실기업정리는 금융당국이제대로 손을 쓰기도 전에 단기금융시장의 부실채권정리에서 벌써 시작됐다.
지난해 발부터 부실기업에 대한 여신회수에 나선 단자사들은 한푼이라도 더 챙기기위해 거액의 어음을 은행으로 돌리고있는데 은행은 이를 무작정 덮어쓸 수도 없을 뿐더러 그렇다고 부도도 낼수 없는 형편이어서 단자사보유의 단기어음이 금융시장의 난기류가 되고있다.
부실기업정리는 이미 채권은행의 자금관리가 시작된 국제그룹을 시각으로 부실해외건설업체가 대상이 될 것이다.
이들 업체에 단기자금을 빌려준 단자회사들이 작년말부터 서둘러 한꺼번에 돈을 회수하려했으나 그럴 경우 거액연쇄 부도사태가 나므로 당국이 개입, 선거기간중은 단자사도 어음을 돌리지 못하도록 하고 은행도 부도를 내지 않도록 해왔다.
정부는 이들 기업을 부도처리하여 도산시킬경우 그 충격이 너무 크기 때문에 부도를 내지 않으면서 실력있는 기업에의 인수, 방계기업과 부동산의 매각 등을 통해 점진적으로 축소·정리시킨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있는 재산을 다팔아도 빚갚기가 어려운 형편이어서 일단 거래은행이 모든 부채를 안고 거래은행에 대해선 한은의 특별자금지원을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또 은행부채는 상환을 늦춘다 해도 단자회사의 거액어음은 계속 돌아오므로 은행이 지보를 하여 단자어음을 유예시키는 방법도 취해지고 있다.
일부 부실기업에 대해서는 쉬쉬하는 가운데 건당 1천억원씩이 넘는 거액의 긴급금융지원이 이어지고 있으며 국제그룹엔 긴급융자외에 1천여억원의 단자어음에 대한은행지보를 해준다. 은행을 믿고 단기빚을 급히 받으려 하지 말라는 것이다.
해외건설업체의 단기채를 싸고 은행과 단자사건에는 서로 떠넘기기 실랑이가 벌어지고 있다.
지난달말과 이달초에 단자사들이 교환에 돌린 모건설사의 어음중 약 1백40억원은 은행에서 지불도 않고 그렇다고 부도도 내지않은 엉거주춤한 상태에 있다.
은행이 추가대출을 해줘 대신 막아주든지 부도처리를 하든지 해야하나 당국이 오는20일까지 확실한 결정을 내려줄테니 기다리라는 방침을 전해와 주거래은행은 엉거주춤한 상태로 기다리고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변칙금융처리는 과거 이·장사건때의 공영토건·일신제강의 부도처리가 며칠끌었던 것을 제외하면 최근에는 거의 없던 일이다.
금융계는 앞으로도 부보채권정리와 관련, 은행과 단자사이에 이런 케이스가 계속등장할것으로 보고 있다.
부실기업정리와 관련하여 증권·단자·신용금고 등을 중심으로 금융계의 일부재편도 뒤따르게 돼있다.
이미 부실기업그룹이 매물로 내놓은 금융회사만도 10증권·M상호신용금고·Y상호신용금고등 수개회사에 이르고있고 특정기업에 대한 거액여신을 안고 함께 부실해진 S투금·지방D투금등 4∼5개의 신설·지방단자사들은 기존단자 혹은 타기업그룹에의 흡수·합병을 통한경리가 불가피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