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각 빅딜 안 되자 DJ 대로, 55개사 퇴출 명단 공개로 압박
━ 손병두의 ‘IMF위기 파고를 넘어’ ② 빅딜 벼랑에 몰린 대기업 1998년 2월 13일 김대중 당시 대통령 당선자가 경제 단체장들과의 오찬 석상에 참석했다. [사진 손
-
건설사 5곳 중 1곳이 '좀비 기업'…3년째 이자도 못갚는다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건설현장. 뉴스1 지난해 국내 건설사 5곳 중 1곳이 3년째 번 돈으로 빌린 돈의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조사됐다. 고금리와 원자잿값 상승
-
1996년 노동법 날치기 없었다면, IMF 갈 일도 없었을 것
━ 손병두의 ‘IMF위기 파고를 넘어’ ① 위기가 오는 징후들 1997년 11월 21일 IMF(국제통화기금) 구제금융신청으로 본격화된 ‘IMF 사태’를 일컬어 6·25 이
-
‘2023 자랑스러운 성균언론인상’ 27일 시상식 개최
왼쪽부터 유병권 문화일보 편집국장, 신창훈 헤럴드경제 편집국장,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 정대길 삼정KPMG 부회장 성균관대 출신 언론인 모임 성균언론인회는 ‘2023 자랑스러운
-
이재명이 쏘아올린 3% 성장률…'긴축' vs '확장' 나아갈 방향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일 국회에서 민생경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나라 곳간을 풀면 저성장이 ‘뉴노멀’(새로운 기준)이 된 한국 경제가 살아날 수 있을까. 역대
-
워크아웃 동아줄 놨다…한계기업 줄도산 위기
16일부터 위기에 놓인 회사가 기업재무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을 활용해 회생할 기회가 사라진다. 워크아웃의 법적 근거가 되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 연장안이 여야의 극한 대립
-
[김승현의 시선] ‘부전 공화국’, 언제까지 진단만
김승현 사회부디렉터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가 “우리 사법부는 재판 지체로 ‘기능 부전’에 빠져 있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인사청문회 통과 시 6년간 이끌게 될 조직에 대해 ‘부
-
[단독]'묻지마 태양광'에 보증 선 文정부…213억 못 돌려받았다
전남 신안군의 한 태양광 발전 설비(기사와 관련 없음). 프리랜서 장정필 문재인 정부 시절 추진한 태양광 에너지 사업에선 부실기업도 지원을 받은 경우가 많았다. 보증을 선 정부가
-
[주정완 논설위원이 간다] 21년간 2000억 적자 양양공항, 아무도 책임 안 진다
━ ‘유령공항’ 악몽 재연된 양양국제공항 주정완 논설위원 대형 국책사업으로 3500억원 넘게 쏟아부은 시설물이 대책 없이 놀고 있다. 지난 21년간 쌓인 운영 적자도 20
-
개미들 ‘포모 증후군’ 도졌다, 2Q 실적이 주가 받쳐줄까 유료 전용
■ 머니랩 프리뷰 「 정보는 돈입니다. 투자자가 금융ㆍ자산시장의 이슈와 이벤트를 꿰고 있어야 하는 이유죠. 머니랩이 전문가 6명(그래픽 참조)의 조언을 받아 투자자들에게 꼭 챙
-
부실기업 느는데…워크아웃법 ‘아웃’ 위기
정부와 여당이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 일몰 연장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기촉법은 기업 구조조정 수단인 기업재무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의 근거법이다.
-
부실 기업 즐비한데…워크아웃법 사라지나
정부와 여당이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 일몰 연장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기촉법은 기업 구조조정 수단인 기업재무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의 근거가 되는
-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8·3 사채동결 조치 50년…책임 있는 기업이 국민 살려
━ 정치와 기업, 공조와 긴장의 관계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기업인 여러분, 나는 이상과 같은 조치를 취함에 있어서 모든 기업인은 정부의 의도와 국민의 여망이 어
-
2459개 상장사 몽땅 뒤졌다, 그래서 알게된 '문제적 기업'
━ 상장사 2459곳 심층분석 보고서 머니랩이 ‘잃지 않는 주식 투자를 위한 대외비 보고서’를 공개합니다. 이른바 ‘문제적 기업 보고서’입니다. 2459개 코스피·코스닥
-
노사갈등 커지는 기업, 바구니에 담지 마라
━ 상장사 2459곳 심층분석 보고서 머니랩이 ‘잃지 않는 주식 투자를 위한 대외비 보고서’를 공개합니다. 이른바 ‘문제적 기업 보고서’입니다. 2459개 코스피·코스닥
-
2459개 상장사 몽땅 뒤졌다, 그래서 알게된 ‘문제적 기업’ ① 유료 전용
가치 투자의 거장 크리스토퍼 브라운(1946~2009년) 전 트위디브라운 펀드 사장은 “1달러의 주식을 66센트에 사라”는 말로 유명합니다. 저평가된 성장성 있는 기업에 투자하라
-
상폐 가능성 있는데 42곳이 공시 누락…못 믿을 사업보고서
지난 10일 여행 전문업체 롯데관광개발 주가가 이날 하루에만 11% 폭락했다. 감사보고서에 ‘계속 기업 관련 중대한 불확실성’ 강조사항이 적시됐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다.
-
[단독] 상폐 확률 6배인데…상장사 31곳 '계속 기업 불확실' 누락
중앙일보가 상장 기업의 2022사업연도 사업보고서를 전수조사한 결과, 외부 감사 관련 중요 사항을 누락한 사례가 상당수 발견됐다. pixabay. 지난 10일 여행 전문업체 롯데
-
[이상렬의 시시각각] 산으로 간 노동개혁
이상렬 논설위원 1996년 말 노동법 날치기 파동은 한국 경제에 큰 손실을 끼친 사건이다. 노동개혁을 제대로 이뤄낼 기회를 날려버렸기 때문이다. 선진국 클럽인 경제협력개발기구(O
-
[세컷칼럼] '빅 배스'의 소멸시효
. . . 난방비 폭탄의 책임에 대해 국민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했다. 응답자의 정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여론조사가 실마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설 연휴 직후인 지난달 2
-
[세컷칼럼] 이수만·방시혁 대 카카오
회사의 최대 주주인 창업자가 기업에서 쫓겨난다는 건 드라마 같은 일이다. 부실기업도 아닌데 말이다. SM엔터테인먼트의 설립자이자 최대주주(18%)인 이수만 프로듀서가 비슷한 상
-
[김원배의 시선]이수만·방시혁 대 카카오
김원배 논설위원 회사의 최대 주주인 창업자가 기업에서 쫓겨난다는 건 드라마 같은 일이다. 부실기업도 아닌데 말이다. SM엔터테인먼트의 설립자이자 최대주주(18%)인 이수만 프로듀
-
[이상렬의 시시각각] '빅 배스'의 소멸시효
이상렬 논설위원 난방비 폭탄의 책임에 대해 국민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했다. 응답자의 정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여론조사가 실마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설 연휴 직후인 지
-
다주택 주담대 허용…부동산규제 더 푼다
정부가 얽히고설켜 있는 부동산 규제를 또 푼다. 이번에는 부동산 시장의 숨통을 조였던 대출을 중심으로 한 금융 관련 규제 완화다. 이는 급락하는 부동산 시장의 연착륙을 유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