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에코세대 내집 프로젝트] 40년 된 2층집, 넷이 뭉쳐 ‘사무실 달린 3층집’으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요즘 청년들, 집 문제로 고민이 깊습니다. 가파르게 오르는 집값 때문에 삶의 기반을 단단하게 다질 여력조차 없습니다. 부모 세대가 만들어 놓은 아파트 중심의 부동산 시장에서 청년들은 약자일 뿐입니다. 안정된, 나만의 개성을 살린 집에서 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돌파구를 만들어 가는 청년들을 소개합니다. 베이비부머 세대(1950~60년대 출생)의 자녀세대로 불리는 에코세대의 집 이야기를 연재합니다.

기사 이미지

생활건축사무소의 네 공동대표, 강홍구(32),홍성준(36),노준영(34),정인섭(33)씨(왼쪽부터). 네 청년들은 ‘생활집’의 옥상 테라스에서 맥주 마실 일에 들떴다.

오래된 주택에서 삶터의 가능성을 새롭게 발굴한 네 청년이 있다. 이들은 1970년대 서울 목동에 지어진 대지면적 63.20㎡(약 19평)의 이층 주택을 매입해 3층(+4층 옥탑방)으로 증축했다. 지난 2월 완공한 이 프로젝트를 통해 청년들의 신분도 바뀌었다. ‘만년 세입자’에서 집주인으로, 회사원에서 사업자로 변신했다. 생활건축사무소의 네 공동대표, 강홍구(32), 노준영(34), 정인섭(33), 홍성준(36)씨의 이야기다.

①노후 주택에 답 있다
건축가 4명 ‘공동 삶터’ 실험
“모두 집주인되고 사무실 생겼죠”

‘생활집’은 이들의 첫 프로젝트다. 자신들의 집이자, 앞으로 계속 짓고 싶은 집이기도 하다. 대형 건축사무실에서 각각 5~7년간 경험을 쌓았지만 건축가로서 이들은 갈증이 컸다. 사무실에서 컴퓨터로 도면만 그리지 말고, 집을 짓고 싶었다.

회사 선후배, 고향 친구 등으로 얽힌 이들은 같은 고민으로 뭉쳤다. 7개월간 서울을 뒤져 2014년 5월께 이 집을 샀다. 매매가 2억8000만원. 한사람 당 7000만원 꼴이었다. 유일한 기혼자인 홍씨는 아내의 지방근무로 아파트를 청산한 돈의 일부를, 나머지 셋은 원룸 전세금을 더해 프로젝트 자금을 만들었다..

기사 이미지

‘생활집’ 앞에 선 청년들. 1층은 사무실 2층은 공용거실 및 주방. 3층과 옥탑방(4층) 등 방 3개를 넷이서 나눠 쓴다.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필요한 일을 하는 건축가가 되자. 건축사무소 창업도 하고, 방에서 방으로 옮겨다니던 서울 생활을 안착시킬 우리 집도 짓자”며 넷은 다니던 회사를 그만뒀다. 이후 두 명은 증축 현장에서 직접 일하고, 두 명은 아파트 인테리어로 돈을 벌면서 증축 프로젝트를 이어갔다. 도전한 청년들이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괜찮겠어”였다.

“집을 살 때 부모님과 지인들은 아파트도 아니고 낡은 주택을 사서 괜찮겠느냐. 증축할 때 부동산 중개업자는 집의 천장 높이가 각각 달라 일반적이지 않은데 괜찮겠느냐. 졸지에 이단아가 됐습니다.”(정인섭)

기사 이미지

1층 생활건축사무소의 모습. 공사 직후라 다소 어수선하다. 집을 신축했다면 1층은 주차장으로 만들어야 했다.

사실 네 청년은 노후주택의 가능성을 일찌감치 알아봤다. 값이 싼 것은 기본이다. 생활집의 1층 용도는 제1종근린생활시설로, 상가로 쓸 수 있었다. 신축보다 증축을 택한 건 1층 상가 공간을 살리기 위해서다. 생활집은 70년대에 지어져 주차장이 없었다. 늘어나는 면적(단독주택 100㎡당 주차 1대)에 한해서 지금의 주차장법을 따르면 됐다. 증축하는 3층 면적은 50㎡ 미만, 법규 상 필요한 주차 대수는 0대다. 1층을 주차장이 아닌 상가로 쓸 수 있었다.

“인근 공용주차장의 월 주차비가 6만~7만원이에요. 1층을 상가로 임대 했을 때 수익률이 더 크죠. 지금은 1층을 생활건축사무소의 사무실로 쓰고 있지만 훗날을 생각했습니다.”(노준영)

기사 이미지

2층에는 공용거실 및 주방, 화장실이 있다. 원하는 곳에 만들어 놓은 창문, 들어오는 햇살만 바라봐도 행복하다는 청년들이다.

유럽의 오래된 시가지 건물에는 주차장이 없는 경우가 많다. 대신 동네마다 공용주차장이 확보되어 있다. 우리나라 건축법상 새로 건물을 지으면 100㎡당 주차대수 1대를 확보해야 한다. 다세대·다가구 건물의 1층을 필로티로 띄워 주차장을 만들게 된 배경이다.

“집마다 1층을 띄워 주차장으로 만들면 동네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어둡지 않나요. 골목의 작은 집들의 풍경을 유지하려면 주차장법을 이들에 맞게 정비할 필요가 있죠. 공용주차장이 많이 확보돼야 하고요. 아파트 중심으로 동네 재개발 관련법이 마련되어 있는 게 한계죠.”

기사 이미지

3층에 있는 2개의 방은 천장 높이가 다르다. 방 안에 다락방 같은 공간을 만들어 놓기도 했다.

기사 이미지

3층에 있는 2개의 방은 천장 높이가 다르다. 방 안에 다락방 같은 공간을 만들어 놓기도 했다.

네 청년은 집을 사고 1년을 살아본 뒤 공사를 시작했다. 옛 집이다 보니 제대로 된 설계도면도 없었다. 살면서 모자란 부분을 체크했다. 지난해 10월 공사를 시작해 겨울을 꼬박 넘겨 끝냈다. 영하 18도까지 내려간 혹한 속에서 연탄을 태워가며 버텼다. 노씨는 “현장 일꾼들과 함께 바닥 공사부터 같이 해서 생활집을 보면 엑스레이 투시하듯 그 속의 배관 등이 훤히 보인다”며 웃었다.

기사 이미지

생활집의 옥탑방 모습. 경사지붕 덕에 천창을 낼 수 있었다. 옥탑방 앞에는 너른 옥상 테라스가 있다.

기사 이미지

생활집의 공간은 계단으로 이어져 있다. 한 층에 공간이 쫙 펼쳐지는 아파트의 평면과 다르다. 작지만 충실한 집을 짓기 위한 동선을 고려했다.

생활집은 2층까지 옛 주택의 외벽돌을 유지한 채 내부만 고쳤다. 인근에 있는 지하철 9호선 염창역에 급행선이 정거해 동네에 대형 원룸 건물 붐이 불었다. 하루가 다르게 올라오는 원룸 건물 사이에 옛 집의 모습이 조금이라도 남길 바랐다. 홍성준씨는 “완공 후 동네 토박이 분이 와서 '동네 풍경을 지키면서 건물을 살려줘서 고맙다’고 말해줘서 보람 있었다”며 웃었다.

기사 이미지

생활집의 층 별 면적은 작지만 3층까지의 공간을 모두 합치면 126㎡(옥탑방 면적 제외)에 달한다. 인근 49평 아파트의 전용면적 수준이다. 작아도 꽉 찬 집이다. 비싸지 않고, 공간 효율을 최대화한 실속형 집이다.

1층은 사무실로, 2층은 네 청년의 공용 거실 및 주방으로 쓴다. 화장실의 샤워실·변기·세면대는 각각 공간을 분리해 여러 사람이 동시에 쓸 수 있게 했다. 3층과 옥탑방을 포함해 방은 총 3개. 두 명은 함께 방을 써야한다. 하지만 지금껏 살던 집에는 없던 옥상 테라스가 있다. 일상의 공간이 곧 일터가 됐고, 사업상 파트너들과 한 집 사람이 됐다.

“원하는 곳에 뚫린 창문 덕에 빛이 잘 들어와요. 2층 주방과 거실이 넓어서 안 하던 요리도 합니다. 아파트에서보다 삶의 질이 훨씬 올라갔죠. 생활건축사무소의 첫 삽도 푹 떴으니 앞으로 열심히 지어볼 참입니다.”

글=한은화 기자, 사진=권혁재 사진전문기자 on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