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업주부 2년 연속 감소, 고학력 여성 노동시장 진입 증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전업주부 2년 연속 감소

전업주부 2년 연속 감소가 화제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업주부 2년 연속 감소수는 708만 5000만 명으로 지난해보다 5만 8000명 줄었다.

2000년대부터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이 점점 늘어났으나, 가사와 육아를 하며 경제활동은 하지 않는 전업주부 역시 2000년(638만 명)부터 2013년(730만 명)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2014년에 처음으로 전년보다 15만 5000만 명(2.1%)이 감소했으며, 이는 올해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자녀를 둔 여성들의 고용률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자녀 연령이 만 2세 미만일 경우 우리나라의 여성 고용률은 32.4%로 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었다. 자녀 연령이 만 3~5세인 구간에서는 35.8%로 꼴찌였다.

전체 여성 고용률(15세~65세) 역시 지난해 55.7%를 기록하며 OECD 회원국 평균인 58.0%에 미치지 못했다.

20~30대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지며 전업주부는 감소세에 들어섰으나, 아직 육아·가사 부담이 여성에 집중됐으며 출산 후 재취업이 힘들어 경력 단절 문제가 남아있다는 분석이다.

전업주부 2년 연속 감소로 돌아선 것은 고학력 여성들의 노동시장 진입이 활발해지면서 20∼30대 여성 비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