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노동개혁팀장 후임 운동가 대신 이론가 급부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청와대가 새만금 헬기 시찰 사건과 관련해 물러난 박태주(48)전 노동개혁 태스크포스(TF)팀장의 후임 인선을 놓고 고심 중이다. 朴전팀장같은 노조 출신의 '현장 운동가'와 교수 등 '이론가'를 후보군에 올려놓고 내부 격론을 벌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론가를 발탁하는 방안은 최근 노무현(盧武鉉)대통령의 노동문제 대응법에 대해 친노적이란 비판이 일면서 급부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盧대통령의 노동계 인맥의 핵심인 김영대(金榮大.전 민주노총 부위원장)개혁당 사무총장은 "후임 인선과 관련해 내게 자문이 왔다면 현장 쪽 사람을 쓴다는 구상일 텐데 전혀 문의가 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특히 후보에 포함된 학자에 대해 "盧대통령이 잘 알지 못하는 인물"이라고 전했다. 노동계 출신을 주축으로 대선 때부터 노동정책 수립에 참여해온 인사를 중용했던 盧대통령의 인선 방향에 변화 기미가 보이는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헬기 사건으로 공석이 된 정책관리비서관에 전문 관료인 김성진 기획예산처 사회예산심의관이 임명된 점도 같은 맥락에서 주목된다.

노동개혁 TF팀장에 '노무현 코드'와 관계없는 학자가 임명될 경우 친노 성향이란 시각이 희석되는 반면 노동계와의 '대화 채널' 기능은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새 정부가 마련 중인 장기 노동개혁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경쟁력을 중시하는 '영미형'과 노사 협의를 중시하는 '유럽형(네덜란드식)' 노사관계 모델 중 청와대가 어느 방향에 무게를 두는지를 읽는 실마리가 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