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일 지각'한 선거구 획정…획정위원장 "국민께 송구"

중앙일보

입력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28일 4ㆍ13 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박영수 획정위원장은은 이날 선관위 관악청사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법정 제출기한인 지난해 10월 13일을 훌쩍 넘길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 대해 다시 한 번 국민께 송구스럽다”며 “국회의 법 개정이 지연되면서 법률이 아닌 정치권이 합의한 획정기준을 적용할 수밖에 없었고, 그나마도 충분한 논의 시간을 보장받지 못했다”고 했다.

그는 “선거를 불과 40여일 앞두고 있다는 절박감과 자칫 대폭적인 선거구 변경이 야기할 수 있는 혼란을 우려했다. 기존의 일부 불합리한 선거구가 있더라도 조정하지 못한 아쉬움도 있다”고 덧붙였다.

획정안은 원래 총선 6개월 전인 지난해 10월 13일까지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어야 했다. 그러나 이날 획정안을 국회에 넘기면서 획정위는 정해진 시한을 139일 넘겼다. 총선까지는 이제 45일을 남겨놓고 있다.

다음은 박 위원장과의 일문일답.

-마지막까지 협상이 어려웠던 점은?
“수도권 분구가 된 선거구가 많이 있었다. 그 선거구 중에서 특히 지역선거구 4개~5개가 되는 수원이나 고양 등의 경계 조정이 큰폭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합의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수도권 이외에서 논의가 길었던 곳은?
“그 부분은 특별히 말씀드릴만한 부분이 없다.”

-완성도는 어느 정도라고 보는가?
“지금 공직선거법에 의하면 획정기준이 법에 위반되는 경우에 소관상임위에서 획정위로 재획정 요청하기로 돼 있다. 그러나 획정안이 법에 위반되는 부분 없다고 확신한다.”

-국회 안행위에서 그대로 통과될 거라 보는가?
“그렇게 기대하고 있다.”

-지역구 의석 7개 늘어난 과정을 설명한다면?
“주로 인구가 많이 증가한 수도권 분구 있어 늘어났고, 농촌지역에서 선거구 감소 있었다. 지역구 증설 12군데와 감소 5군데다. 최종적으로 7곳 늘어났다.”

-강원도 선거구 많이 줄어 반발 예상된다.
“많이 고민한 부분이다. 국회도 획정기준 고민했을텐데 가장 뜨거운 부분 중 하나였다. 농·어촌 지역 선거구를 어떻게 배려할 것인가 많은 고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재가 정한 인구 기준 2대1 맞추기 위해 불가피한 축소가 있었다. 그 부분을 안타깝게 생각한다.”

이지상 기자 groun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