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록강 다리 통해서만 거래 제재 초기 무역 대폭 줄 것”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68호 1 면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 신의주와 접한 중국 국경도시 단둥(丹東). 북·중 무역 물량의 70%가 여기서 이뤄진다고 일컬어지는 곳이다. 미국과 중국이 합의한 유엔 대북제재안의 통과를 앞둔 27일 압록강을 가로지르는 중조우의교(中朝友宜橋) 앞에 있는 단둥 해관(세관)에는 코크스를 가득 실은 대형 트럭 3대가 이른 아침부터 주차해 있었다. 대북 무역 관계자에게 물어보니 “북한의 제철소에서 사용하기 위해 중국에서 사 들여가는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에는 코크스 원료인 석탄은 있어도 이를 코크스로 가공하는 시설이 부족해 중국에서 수입해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차량 외에는 국경을 드나드는 차량이 거의 없어 세관 전체가 한산했다.


북한을 오가는 각종 물건들의 적재나 하역 작업이 이뤄지는 단둥 시내의 화위안(花園) 물류센터도 한산한 모습이었다. 관계자는 “주말에는 세관 업무를 쉬기 때문에 그런 것”이라며 “금요일인 26일에는 트럭 50여 대가 세관 마당을 가득 메웠고 세관 밖 간선도로에까지 줄을 섰다”고 말했다. 그는 “1월 북한 핵실험이나 2월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에도 실제 오가는 차량의 수에는 큰 변화가 없는 듯하다”고 덧붙였다. 화위안물류센터 앞에서 북한 기업들을 상대로 윤활유와 타이어, 자동차 부품을 파는 업체의 직원은 “북측으로부터의 주문량이 줄어들긴 했지만 해마다 이맘때 나타나는 계절적 영향으로 보인다”며 “핵실험의 영향은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일부 언론에선 중국이 독자적인 제재를 이미 시행 중이라고 보도한 것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주중 한국 대사관 관계자는 “중국 정부 각 부처를 상대로 파악한 결과 중앙 정부 차원에서 독자적인 제재를 마련해 지방정부나 기업에 통보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주선양(瀋陽) 총영사관 관계자는 “일부 기업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예전부터 북한과의 거래를 스스로 중단해 온 사례가 와전돼 중국 정부가 독자 제재에 나선 것으로 잘못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가령 단둥항에 입항하는 북한 선박이 지난해 8월부터 사라진 건 중국 정부 차원의 제재가 아니라 글로벌 사업을 추진 중인 항구 관리 업체인 르린(日林)그룹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스스로 북한 선박의 출입을 통제한 데 따른 것이다.


▶4면으로 이어짐


단둥=예영준 특파원?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