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 그리는 기업] 자발적이고 지속적 봉사활동 기업문화 정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4면

기사 이미지

베트남에서 봉사활동 중인 포스코 임직원의 모습. 포스코 대학생봉사단 비욘드(Beyond)와 휴가도 반납하고 임직원 글로벌봉사단 180여 명이 베트남 포스코빌리지 프로젝트에 참여해 저소득 가구를 위한 집짓기 봉사에 나섰다. [사진 포스코]

포스코의 사회공헌활동은 2003년 ‘포스코봉사단’을 공식 창단하면서 더욱 발전해왔다. 창사 이래 지속적으로 전개해온 사회공헌활동은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기 위해 1988년 자매마을 활동을 시작으로 임직원이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기업문화로 정착됐다. 포스코는 ‘더 나은 세상을 향하여(For a Better World)’라는 비전으로 지역사회·글로벌인재·지구환경·다문화·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포스코는 매월 셋째주 토요일을 ‘나눔의 토요일’로 정해 월평균 5000여 명의 직원이 복지시설 등지를 찾아 봉사활동에 참여한다. 임원도 매달 포항과 광양·경인지역 1~4차 협력 중소기업을 방문해 경영 상 어려움을 듣고 법률·세무·인사 등 전문분야 조언을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프로보노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평균 포스코 임직원의 일인당 봉사시간은 29시간에 달한다. 제조업 중심으로 성장해온 포스코에게는 지역사회가 가장 중요한 이해 관계자다. 부서별로 자매마을 결연 활동으로 지역과 호흡하고 있다. 포항, 광양지역을 중심으로 경제 활성화와 사회 복지를 위해 사회적 기업을 운영·지원해 소외계층을 위한 일자리를 창출했다.

 국내를 넘어서 인도네시아·베트남 등 포스코가 진출했거나 진출 예정인 해외 저개발국가의 자립 지원에도 앞장서고 있다. 포스코의 사회공헌활동이 베트남 내 외자 기업에게 상생 활동의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바리야붕따우 성에는 300여 개에 달하는 수많은 외자기업들이 활동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포스코처럼 주택 보급, 의료보건 서비스 제공, 장학 사업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꾸준하게 전개하는 기업은 드물다.

 포스코는 2011년부터 진행해 온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 보급 사업을 통해 이미 노후한 주택 43세대를 새 주택으로 바꿨다.

송덕순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