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 홍콩 무관세, 경제통합 앞당길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사오산보(邵善波.53.사진) 일국양제(一國兩制)연구센터 총재는 "홍콩과 상하이(上海)는 그 기능이 서로 다르다"고 단언했다. 예컨대 다국적 기업들이 홍콩에 '아시아 지역본부'를, 상하이에 '중국 지역본부'를 설치하는 시대가 계속된다는 주장이다. 일국양제 연구센터는 '정치적 중립'을 내세우는 비(非)영리 기관이나 친(親)중국 분위기가 강한 편이다.

-중국과 통합은 어느 정도 이뤄졌나.

"20여년 전부터 수만개 홍콩 기업이 중국 대륙에 공장을 세워 현재 중국인 1천만명을 고용하는 수준까지 왔다. 홍콩.중국 간에 '무(無)관세 협정'이 체결되면 두곳의 경제 통합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

-중국의 입김이 커져 자유.자치의 범위가 줄어들고 있다는 우려가 많은데 굳이 '국가안보조례'입법을 강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영국 식민지 시절에도 반(反)국가 활동은 형법에 따라 엄격하게 처벌했다. 이번 입법은 형법에 흩어져 있는 관련 조항들을 하나로 묶자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국가 분열 행위에 굉장히 민감하지만 이번 입법 과정에서 홍콩의 특수성을 감안해 일부 처벌 조항을 완화했다."

-강력한 리더십을 위해선 행정수반과 입법회 의원(현재 60명)을 직선으로 뽑아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내년 6월 입법회 선거 때는 직선으로 뽑는 의원 숫자(현재 24명)가 30명으로 늘어난다. 그 다음에 직선 확대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홍콩 경제는 중국으로 반환됐던 1997년부터 불황의 늪에 빠졌는데.

"홍콩 기업들은 중국의 개혁.개방 초기에 썰물처럼 대륙으로 빠져나가 제조업이 공동화(空洞化)됐다. 거품이 붕괴하면서 부동산.주식 가격이 60% 가량 폭락했다. 그래서 구조조정이 오랫동안 진행되고 있다."

-상하이의 급부상에 따른 대책은.

"상하이는 중국 대륙의 창장(長江)지역을 아우르는 경제 중심 도시가 될 것이다. 홍콩은 주장(珠江)이라는 무대가 있다. 두곳의 운명은 서부 개발로 힘을 얻을 충칭(重慶).우한(武漢)등의 도시가 자신들의 대외 거점을 어디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홍콩=이양수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