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김치 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7면

최근 중국에서 김치가 사스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한국 음식점을 찾는 사람이 부쩍 늘었을 뿐 아니라 백화점 등에서 김치를 사재기하는 사람도 있다는 것이다.

김치 속에는 마늘.고추.생강.파 등 많은 재료가 들어간다. 이같이 맛을 내기 위해 김치에 넣는 여러 가지 재료를 무엇이라 할까. '김치 속'이 아니라 '김치 소'가 맞다.

통김치나 오이소박이 등의 속에 넣는 여러 가지 재료(고명)를 '소'라 한다. 순 우리말이다.

송편이나 만두 등을 만들 때 맛을 내기 위해 익히기 전에 속에 넣는 여러 가지 재료도 마찬가지다. 송편 속에 들어가는 팥.콩.대추.밤 등은 '송편 소'이고, 만두 속에 들어가는 고기.두부.야채 등은 '만두 소'다.

중국과 홍콩 등 동남아 지역과의 교류가 많은 한국에서 사스 감염자가 발생하지 않은 까닭이 김치에만 있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마늘이 항균.항암 작용이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고, 생강은 우리 민간요법으로 감기에 걸렸을 때 달여 마시던 것이다. 마늘.고추.생강.파 등 '김치 소'가 배추와 버무려져 발효하면서 상승작용을 일으켜 면역력을 높여 주는 건 아닐까.

어쨌거나 우리의 전통식품인 김치가 해외에서 인기가 있다니 기분 좋은 일이고, 식생활 변화로 김치 소비가 줄었던 우리에게도 김치를 재평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배상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