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경상수지, 사상 최장기간 흑자 44개월째 이어가… 한편에선 ‘불황형 흑자’ 우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10월 경상수지 [사진 중앙DB]

10월 경상수지, 사상 최장기간 흑자 44개월째 이어가… 한편에선 ‘불황형 흑자’ 우려

우리나라의 10월 경상수지가 89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사상 최장기간 흑자를 이어가고 있다.

10월 경상수지가 89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44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수출이 부진하지만 수입이 더 많이 줄어 흑자가 발생하는 형태가 반복됐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경상수지(잠정치)는 89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012년 3월 이후 44개월째 흑자다. 10월 수출이 474억4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7.0% 줄었지만 수입은 367억 달러로 전년 동월보다 14.7% 감소했다. 9월 경상수지(105억4000만 달러)보다는 흑자규모가 줄었다. 9월에는 수출이 전년 동월비 10%, 수입은 20.9% 줄어 수출입 차이가 10월보다 더 컸다.

10월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107억4000만 달러로 9월(120억4000만 달러)보다 흑자폭이 축소됐다. 서비스 수지는 19억9000만 달러 적자로 적자 규모가 전월(17억3000만 달러)보다 늘었다. 지식재산권사용료 수지의 적자규모가 6억8000만 달러로 9월(2억6000만 달러)보다 급증한 영향이 컸다. 여행수지는 8억50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적자폭이 9월(7억1000만 달러)보다 1억4000만 달러 늘었다. 금융계정의 유출 초과 규모는 110억9000만 달러로 전월(105억4000만 달러)보다 확대됐다.

최근 흑자는 수입이 수출보다 더 많이 줄어든 데 따른 결과라는 점에서 ‘불황형 흑자’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박승환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커진 것은 유가하락으로 교역조건이 개선되면서 수출보다 수입이 더 줄었기 때문”이라며 “물량으로 보면 10월에 수출이 2.1%, 수입은 6.1% 늘어 불황형 흑자라고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10월 경상수지’ ‘10월 경상수지’
온라인 중앙일보
[사진 중앙DB]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