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전기차배터리 … 미래 먹거리 투톱 순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2면

기사 이미지

삼성그룹은 2010년 바이오·의료기기·자동차용전지·태양전지·발광다이오드 등 다섯 분야를 5대 신수종 사업으로 선정했다. 송도에 있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실험실에서 연구원들이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위한 세포배양 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
삼성의 바이오제약 사업과 자동차용 배터리 사업이 순항하고 있다.

삼성은 바이오제약 산업에 본격 진출하기 위해 2011년 세계 톱 바이오제약 서비스 업체인 미국 퀸타일즈와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사업 합작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설립했다. 2012년에는 바이오 시밀러 제품 개발과 사업화를 위해 글로벌 바이오 제약사인 미 비오겐과 합작해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설립했다. 삼성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 설립을 통해 바이오제약 사업에 필요한 제품개발·임상·인허가·제조·판매 역량을 갖추게 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현재 바이오시밀러 6종에 대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 중 엔브렐·레미케이드 2종은 유럽에 시판허가를 신청해 놓은 상태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글로벌 론칭에 대비해 다국적기업 머크, 비오겐과 글로벌 마케팅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2월에는 머크와 당뇨치료제 공동 개발 및 상품화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추가 연구개발 자금 조달을 위해 미국 나스닥 시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삼성SDI는 2차전지 분야에서 인정받은 세계 1위의 기술력과 제조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과 전기 자동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대표적으로 BMW, FCA(피아트-크라이슬러), 포드, 마힌드라 등이 있다.

삼성은 “2013년 삼성SDI 배터리를 달고 나온 첫 양산 전기차인 크라이슬러 F500e가 출시된 이후 미국 시장에서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고, 삼성SDI 배터리를 단독 채용한 BMW i3와 i8도 2013년 11월 유럽 시장에서 판매를 시작한 이후 매진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2014년 한 해 동안 i3가 1만8000대, i8가 1800대 판매됐다.

삼성SDI는 2014년 7월 BMW그룹과 전기차 배터리 공급 확대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배터리 셀 공급을 확대하고, 차세대 소재 등 관련 기술의 장기적인 공동 개발 등을 강화한다는 내용이다.

기사 이미지

배은나 객원기자  bae.eunn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