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통신 130년' 이제 '5G'로 세계시장 주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오는 28일은 대한민국 통신산업이 시작 된지 130년이 되는 날이다.

KT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21일 오후 3시 서울 광화문 KT올레스퀘어에서 ‘대한민국 통신 130년 기념식’을 개최한다.

대한민국 통신산업은 1885년(고종 22년) 9월 28일. 광화문 세종로 70번지(현 세종로고원)에 한성전보총국이 설립되면서 시작됐다. 한성전보총국은 서울과 인천간 전신이 개통된 것을 계기로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전신기관이다. 전기가 우리나라에 도입되기 1년 6개월 전이다.

그 후 일제 강점기 시절 조선총독부 산하 통신국(1910년)ㆍ경성우편국 용산전화분국(1922년)ㆍ경성무선전신국(1923년)을 거쳤다. 이후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함께 체신부(1948년)로 변경됐고 한국전기통신공사(1981년)ㆍKT(2002년)로 이어지며 대한민국 통신 역사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 KT경제경영연구소가 분석한 유ㆍ무선 통화 경제효과에 따르면 1980~2013년까지 유ㆍ무선 통화는 약 64조km의 이동거리를 절감해 약 7847조원의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선전화 보급이 본격화된 1980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내 유ㆍ무선 총 통화건수 약 2.6조 건과 2014년 말 기준 시내통화 평균거리 24.66km, 그리고 최근 주유비 등을 대입해 산정한 수치다.

1986년 순수 우리기술로 개발된 자동식 전자교환기 ‘TDX-1’가 상용화 된 이후 국내 통신 서비스는 비약적으로 성장한다. 1988년 전화 가입자가 1000만 가입자를 기록하며 ‘1가구 1전화 시대’가 열렸고 이후 1996년 CDMA, 이듬해 PCS 등 이동통신 서비스 시대가 본격화했다. 또 2007년 3세대(3G), 2011년 4세대(4G) 이동통신가 상용화되면서 우리나라는 명실공히 ‘ICT(정보통신기술) 강국’으로 발돋움했다.

2014년 4분기 기준 국내 브로드밴드 평균 속도는 22.2메가비피에스(Mbps)로 글로벌 1위다. 이는 전세계 평균 4.5Mbps보다 4배 이상 빠른 수준이다. 또 2014년 12월 기준 무선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는 5357만명으로, 세계 4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강력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기반으로 2014년 UN 전자정부 준비지수 1위, ITU ICT 발전지수 2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 통신업계는 이제 5세대(5G) 이동통신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시범서비스로 첫 선을 보이는 5G는 속도만 중요했던 이전 세대와 달리 방대한 용량과 끊김 없는 연결을 통해 ICT는 물론, 산업과 생활 전반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황창규 KT 회장은 “지금 대한민국 통신은 세계가 부러워하는 인프라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표준을 주도하고 있다”며 “이런 대한민국의 통신 130년 역사를 이끌었던 KT가 앞으로는 전 세계 통신시장의 실질적인 리더로서 5G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함종선 기자 jsh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