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중이란?…백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춰 놓았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백중이란, 백중놀이 장면 [사진 중앙포토]

 
오늘 백중절을 맞아 세시풍속과 행사가 백중의 의미와 함께 포털사이트를 중심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백중절은 음력 7월 15일로 백종(百種)·중원(中元), 또는 망혼일(亡魂日)이라고도 한다. 백종은 이 무렵에 과실과 소채(蔬菜)가 많이 나와 옛날에는 백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 하여 유래된 명칭이다.
중원은 도가(道家)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의 선관(仙官)이 일년에 세 번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그때를 ‘원(元)’이라 한다. 1월15일을 상원(上元), 10월 15일을 하원(下元)이라고 하며 7월15일의 중원과 함께 삼원(三元)이라 하여 초제(醮祭)를 지내는 세시풍속이 있었다.

백중절을 망혼일이라 하는 까닭은 이날 망친(亡親)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서 술·음식·과일을 차려놓고 천신(薦新)을 한 데 있다.

불가(佛家)에서는 불제자 목련(目蓮)이 그 어머니의 영혼을 구하기 위해 7월 15일에 오미백과(五味百果)를 공양했다는 고사에 따라 우란분회(盂蘭盆會)를 열어 공양을 하는 풍속이 있다. 불교가 융성했던 신라나 고려 때에는 일반인까지 참여했으나 조선시대 이후로 사찰에서만 행해지고 민간에서는 소멸되었다.

이러한 백중날 조상들은 각 가정에서 익은 과일을 따서 조상의 사당에 천신을 한 다음에 먹는 천신 차례를 지냈으며, 종묘(宗廟)에 이른 벼를 베어 천신을 하는 일도 있었다. 농가에서는 백중날이 되면 머슴을 하루 쉬게 하고 돈을 준다. 머슴들은 그 돈으로 장에 가서 술도 마시고 음식을 사먹고 물건도 산다. 그래서 ‘백중장’이라는 말이 생기게 되었다.

백중장은 장꾼들이 많고 구매가 많은 장이다. 취흥에 젖은 농군들은 농악을 치면서 하루를 즐기기도 하고 때로는 씨름판이 벌어지며 장터에는 흥행단이 들어와서 활기를 띠기도 한다. 이러한 백중 명절은 중부 이남지방이 성대하다. 또한 이날은 그해에 농사가 가장 잘 된 집의 머슴을 뽑아 소에 태워 마을을 돌며 위로하며 논다. 이것은 바쁜 농사를 끝내고 하는 농군의 잔치로서 이것을 ‘호미씻이’라 한다.

한편 백중절 머슴의 날을 맞아 이색 한복 행사가 열렸다. 28일 오후 남산골 한옥마을에서는 백중절(머슴의 날)을 맞이하여 한복을 입고 즐기는 백중달빛잔치가 열렸다.

백중달빛잔치 측은 현장에서 한복을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비롯해 사일런트 디스코, 오픈 한옥, 버스킹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전통문화 스타일샵인 얼스타일은 실생활에서 한복이나 전통문화 상품을 매치하는 방법을 담은 칠석데이 스타일링북을 무료 배포했다.

칠석데이 스타일링북은 전통문화상품 시장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한복착용의 활성화를 위해 힘쓰는 다양한 주체의 참여로 만들어졌다.

온라인 중앙일보 jtar@joongang.co.kr
백중이란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